사회문제와 가설 Problem statement
문제 Problem
일회용품, 어디서 얼마나 어떻게 사용되고 있을까? <Zero Waste를 위하여>
무분별한 일회용품 사용은 전세계적으로 이슈되고 있다.
옥수수(PLA)나 사탕수수 등으로 만들어진 식물성 생분해 제품을 사용하는 곳도 있지만 이들은 플라스틱과 섞이면 오히려 재활용을 방해하는 ‘재활용계의 교란종’이다.
그렇다면 일회용품은 어디서 얼마나 어떻게 사용되고 있을까.
우리는 공익데이터실험실을 통해 대구 내 식당, 카페 등의 일회용품 사용 실태를 조사하고 이들이 환경에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statement
구체적인 일회용품 사용 실태조사를 통해 이런 것들을 기대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시민은 일회용품 절감을 위한 정보를 공유하고
기업은 객관적 지표를 통해 환경을 생각하는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며
정부 혹은 지자체에서 정책을 설계하는데 지원
대상 For Whom
함께 할 당사자로 시민/당사자, 특정 집단, 특징을 적어보세요.
누구를 위한 프로젝트일까요? (권한, 제공, 사용, 서비스제공 등)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려는 시민
Zero Waste를 실천하는 시민
ESG 경영을 실천하고자 하는 기업
함께 해야 할 사람, 조직 With Whom
시민
: 일회용품 사용 실태 데이터 수집
사업장(식당, 카페 등)
: 자발적인 일회용품 사용 실태 데이터 제공
대구환경운동연합
: 데이터 분석 결과 공유 및 홍보 협력
자원재생 관련 정책을 준비하는 관/청
: 정책제안을 위한 협력
특정한 사람, 조직, 특징을 적어보세요. 누구와 함께 해야 할까요?
(권한, 제공, 사용, 서비스 제공에 있어 필요한 사람, 조직)
자원재생 관련 정책을 설계하려는 관/청
: ㅁㅁ
데이터기반 액션플랜
액션 목적 purpose
위의 문제 가설 목적에 맞는 결과물의 형태를 생각해보세요.
해당되는 유형이 있으면 체크✅해보고, 여기에 없다면 작성해주세요.
[✅] 공익데이터 공유
[✅] 의제/정책 제안
[✅ ? ] 캠페인 진행
[ ? ] 의제/정책 제안
[ ] 공론장 개최
[
] 콘텐츠 발행(글, 영상 등)
액션플랜 Action plan
어떻게 데이터를 찾고, 만들고, 액션을 할지 마일스톤을 짜보세요.
진행사항과 진행해야할 일감을 체크리스트처럼 작성해봐도 좋아요.
[데이터 수집 단계]
[✅] 공개되어 있는 데이터있지
[ ] 숨어있는 데이터인지 : 정보공개 청구,데이터공개청구, 민간데이터 제공협조요청
[ ] 새로 정의하여 만들어야 하는 데이터인지
[✅] 새로 정의하여 만들어야 하는 데이터,
[데이터 정제 단계]
[ ] 형식적 오류 검증 후 수정하기 (수치, 범주, 일시, 문자, 위치정보 등)
[ ] 실질적 오류 검증하기
[ ] 중심 목적에 맞는 항목의 데이터를 확보했는지
[ ] 문제의 인사이트를 도출하기 위한 데이터 테이블의 컬럼은 충분한지
,
[데이터 공유 단계]
[✅] 데이터퍼블릭
[✅] 깃허브
[✅] Google SpreadSheet캐글
[ ] c4a
[데이터 분석 단계]
[✅] 통계분석
[✅] 시각화 - 차트, 매핑
[ ] 대시보드
[데이터기반 액션]
[ ] 다른 사람들이 프로젝트의 목적을 이해할 수 있나요?
[ ] 이번 프로젝트 이후의 단계는 무엇이고 언제 할 수 있을까요?
공익데이터 Data for Good
데이터셋 명 Data Set Name
대구시 일회용품 및 다회용기 사용 실태 조사
데이터셋 개요와 설명 definition & details
대구시 식당, 카페의 일회용품 사용 현황과 다회용기 허용 여부·범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Zero Waste를 실천하는 사업장을 격려하고 응원하는데 활용할 수 있음
데이터 쟁점 issue
공공 데이터와 직접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기 때문에 법적 이슈와 관련되어 있지 않습니다.진 않나요? (개인정보, 저작권 등)
To be trusted, Data Set checklist
믿을 수 있는 데이터셋을 위한 체크리스트
Trusted Data Sharing Framework
[ ] Transparency 투명성
[ ] Accessibility Standardisation 접근성
[ ] Fairness and Ethics 공정성
[ ] Public goods 공익성
[ ] Accountability and Security and Data Integrity. 안전과 책무성
<h2><strong>사회문제와 가설 Problem statement</strong></h2>
<h3><strong>문제 Problem</strong></h3>
<blockquote>
<p><strong>일회용품, 어디서 얼마나 어떻게 사용되고 있을까? <Zero Waste를 위하여></strong></p>
<p>무분별한 일회용품 사용은 전세계적으로 이슈되고 있다.</p>
<p>옥수수(PLA)나 사탕수수 등으로 만들어진 식물성 생분해 제품을 사용하는 곳도 있지만 이들은 플라스틱과 섞이면 오히려 재활용을 방해하는 ‘재활용계의 교란종’이다.</p>
<p>그렇다면 일회용품은 어디서 얼마나 어떻게 사용되고 있을까.</p>
<p>우리는 공익데이터실험실을 통해 대구 내 식당, 카페 등의 일회용품 사용 실태를 조사하고 이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p>
</blockquote>
<h3><strong>가설 설정 statement</strong></h3>
<blockquote>
<p>구체적인 일회용품 사용 실태조사를 통해 이런 것들을 기대할 수 있을 것 같아요.</p>
<ol>
<li><p><strong>시민은 일회용품 절감을 위한 정보를 공유</strong>하고</p></li>
<li><p><strong>기업은 객관적 지표를 통해 환경을 생각하는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strong>이며</p></li>
<li><p><strong>정부 혹은 지자체에서 정책을 설계하는데 지원</strong></p></li>
</ol>
</blockquote>
<h3><strong>대상 For Whom</strong></h3>
<blockquote><ul>
<li><p><strong>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려는 시민</strong></p></li>
<li><p><strong>Zero Waste를 실천하는 시민</strong></p></li>
<li><p><strong>ESG 경영을 실천하고자 하는 기업</strong></p></li>
</ul></blockquote>
<h3><strong>함께 해야 할 사람, 조직 With Whom</strong></h3>
<blockquote><ul>
<li><p><strong>시민</strong><br>: 일회용품 사용 실태 데이터 수집</p></li>
<li><p><strong>사업장(식당, 카페 등)</strong><br>: 자발적인 일회용품 사용 실태 데이터 제공</p></li>
<li><p><strong>대구환경운동연합<br></strong>: 데이터 분석 결과 공유 및 홍보 협력</p></li>
<li><p><strong>자원재생 관련 정책을 준비하는 관/청</strong><br>: 정책제안을 위한 협력</p></li>
</ul></blockquote>
<h2><strong>데이터기반 액션플랜</strong></h2>
<h3><strong>액션 목적 purpose</strong></h3>
<blockquote>
<p>[✅] 공익데이터 공유</p>
<p>[✅] 의제/정책 제안</p>
<p>[✅] 콘텐츠 발행(글, 영상 등)</p>
</blockquote>
<h3><strong>액션플랜 Action plan</strong></h3>
<p><strong><u>[데이터 수집 단계]</u></strong></p>
<blockquote>
<p>[✅] 공개되어 있는 데이터</p>
<ul><li><p><a href="https://www.data.go.kr/tcs/dss/selectFileDataDetailView.do?publicDataPk=15012005" title="" target="_blank" class="auto_link">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_상가(상권)정보</a></p></li></ul>
<p></p>
<p>[✅] 새로 정의하여 만들어야 하는 데이터</p>
<ul><li><p>대구시 일회용품 사용 실태 조사 데이터</p></li></ul>
</blockquote>
<p><strong><u>[데이터 정제 단계]</u></strong></p>
<blockquote>
<p>[ ] 형식적 오류 검증 후 수정하기</p>
<p>[ ] 실질적 오류 검증하기</p>
<p>[ ] 중심 목적에 맞는 항목의 데이터를 확보했는지</p>
<p>[ ] 문제의 인사이트를 도출하기 위한 데이터 테이블의 컬럼은 충분한지</p>
</blockquote>
<p><strong><u>[데이터 공유 단계]</u></strong></p>
<blockquote>
<p>[✅] 데이터퍼블릭</p>
<p>[✅] 깃허브</p>
<p>[✅] Google SpreadSheet</p>
</blockquote>
<p><strong><u>[데이터 분석 단계]</u></strong></p>
<blockquote>
<p>[✅] 통계분석</p>
<p>[✅] 시각화 - 차트, 매핑</p>
</blockquote>
<p><strong><u>[데이터기반 액션]</u></strong></p>
<blockquote>
<p>[ ] 다른 사람들이 프로젝트의 목적을 이해할 수 있나요?</p>
<p>[ ] 이번 프로젝트 이후의 단계는 무엇이고 언제 할 수 있을까요?</p>
</blockquote>
<h2><strong>공익데이터 Data for Good</strong></h2>
<h3><strong>데이터셋 명 Data Set Name</strong></h3>
<blockquote><p>대구시 일회용품 및 다회용기 사용 실태 조사</p></blockquote>
<h3><strong>데이터셋 개요와 설명 definition & details</strong></h3>
<blockquote><p>대구시 식당, 카페의 일회용품 사용 현황과 다회용기 허용 여부·범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Zero Waste를 실천하는 사업장을 격려하고 응원하는데 활용할 수 있음</p></blockquote>
<h3><strong>데이터 쟁점 issue</strong></h3>
<blockquote><p>공공 데이터와 직접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기 때문에 법적 이슈와 관련되어 있지 않습니다.</p></blockquote>
<h3><strong>To be trusted, Data Set checklist</strong></h3>
<h3><strong>믿을 수 있는 데이터셋을 위한 체크리스트</strong></h3>
<p><a href="https://www.imda.gov.sg/-/media/Imda/Files/Programme/AI-Data-Innovation/Trusted-Data-Sharing-Framework.pdf" target="_blank" class="auto_link"><em><u>Trusted Data Sharing Framework</u></em></a></p>
<blockquote>
<p>[ ] Transparency 투명성</p>
<p>[ ] Accessibility Standardisation 접근성</p>
<p>[ ] Fairness and Ethics 공정성</p>
<p>[ ] Public goods 공익성</p>
<p>[ ] Accountability and Security and Data Integrity. 안전과 책무성</p>
</blockquote>
<h2><strong>사회문제와 가설 Problem statement</strong></h2>
<h3><strong>문제 Problem</strong></h3>
<blockquote>
<p><strong><Zero Waste를 위하여></strong></p>
<p>무분별한 일회용품 사용은 전세계적으로 이슈되고 있다.</p>
<p>옥수수(PLA)나 사탕수수 등으로 만들어진 식물성 생분해 제품을 사용하는 곳도 있지만 이들은 플라스틱과 섞이면 오히려 재활용을 방해하는 ‘재활용계의 교란종’이다.</p>
<p>그렇다면 일회용품은 어디서 얼마나 어떻게 사용되고 있을까.</p>
<p>우리는 공익데이터실험실을 통해 대구 내 식당, 카페 등의 일회용품 사용 실태를 조사하고 이들이 환경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p>
</blockquote>
<h3><strong>가설 설정 statement</strong></h3>
<blockquote>
<p>구체적인 일회용품 사용 실태조사를 통해 이런 것들을 기대할 수 있을 것 같아요.</p>
<ol>
<li><p><strong>시민은 일회용품 절감을 위한 정보를 공유</strong>하고</p></li>
<li><p><strong>기업은 객관적 지표를 통해 환경을 생각하는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strong>이며</p></li>
<li><p><strong>정부 혹은 지자체에서 정책을 설계하는데 지원</strong></p></li>
</ol>
</blockquote>
<h3><strong>대상 For Whom</strong></h3>
<p><em>함께 할 당사자로 시민/당사자, 특정 집단, 특징을 적어보세요.<br>누구를 위한 프로젝트일까요? (권한, 제공, 사용, 서비스제공 등)</em></p>
<blockquote><p><strong>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려는 시민<br>Zero Waste를 실천하는 시민<br>ESG 경영을 실천하고자 하는 기업</strong></p></blockquote>
<h3><strong>함께 해야 할 사람, 조직 With Whom</strong></h3>
<p><em>특정한 사람, 조직, 특징을 적어보세요. 누구와 함께 해야 할까요?<br>(권한, 제공, 사용, 서비스 제공에 있어 필요한 사람, 조직)</em></p>
<blockquote><p><strong>자원재생 관련 정책을 설계하려는 관/청</strong><br>: ㅁㅁ</p></blockquote>
<h2><strong>데이터기반 액션플랜</strong></h2>
<h3><strong>액션 목적 purpose</strong></h3>
<p><em>위의 문제 가설 목적에 맞는 결과물의 형태를 생각해보세요.<br>해당되는 유형이 있으면 체크</em>✅<em>해보고, 여기에 없다면 작성해주세요.</em></p>
<blockquote>
<p>[✅] 공익데이터 공유</p>
<p>[ ? ] 캠페인 진행</p>
<p>[ ? ] 의제/정책 제안</p>
<p>[ ] 공론장 개최</p>
<p>[ ] 콘텐츠 발행(글, 영상 등)</p>
</blockquote>
<h3><strong>액션플랜 Action plan</strong></h3>
<p><em>어떻게 데이터를 찾고, 만들고, 액션을 할지 마일스톤을 짜보세요.<br>진행사항과 진행해야할 일감을 체크리스트처럼 작성해봐도 좋아요.</em></p>
<p><strong><u>[데이터 수집 단계]</u></strong></p>
<blockquote>
<p>[ ] 공개되어 있는 데이터있지</p>
<p>[ ] 숨어있는 데이터인지 : 정보공개 청구,데이터공개청구, 민간데이터 제공협조요청</p>
<p>[ ] 새로 정의하여 만들어야 하는 데이터인지</p>
<p>,</p>
</blockquote>
<p><strong><u>[데이터 정제 단계]</u></strong></p>
<blockquote>
<p>[ ] 형식적 오류 검증 후 수정하기 (수치, 범주, 일시, 문자, 위치정보 등)</p>
<p>[ ] 실질적 오류 검증하기</p>
<p>[ ] 중심 목적에 맞는 항목의 데이터를 확보했는지</p>
<p>[ ] 문제의 인사이트를 도출하기 위한 데이터 테이블의 컬럼은 충분한지</p>
<p>,</p>
</blockquote>
<p><strong><u>[데이터 공유 단계]</u></strong></p>
<blockquote>
<p>[ ] 데이터퍼블릭</p>
<p>[ ] 깃허브</p>
<p>[ ] 캐글</p>
<p>[ ] c4a</p>
</blockquote>
<p><strong><u>[데이터 분석 단계]</u></strong></p>
<blockquote>
<p>[ ] 통계분석</p>
<p>[✅] 시각화 - 차트, 매핑</p>
<p>[ ] 대시보드</p>
</blockquote>
<p><strong><u>[데이터기반 액션]</u></strong></p>
<blockquote>
<p>[ ] 다른 사람들이 프로젝트의 목적을 이해할 수 있나요?</p>
<p>[ ] 이번 프로젝트 이후의 단계는 무엇이고 언제 할 수 있을까요?<br></p>
</blockquote>
<h2><strong>공익데이터 Data for Good</strong></h2>
<h3><strong>데이터셋 명 Data Set Name</strong></h3>
<blockquote><p></p></blockquote>
<h3><strong>데이터셋 개요와 설명 definition & details</strong></h3>
<blockquote><p></p></blockquote>
<h3><strong>데이터 쟁점 issue</strong></h3>
<p><em>법적 이슈와 관련되어 있진 않나요? (개인정보, 저작권 등)</em></p>
<blockquote><p></p></blockquote>
<h3><strong>To be trusted, Data Set checklist</strong></h3>
<h3><strong>믿을 수 있는 데이터셋을 위한 체크리스트</strong></h3>
<p><a href="https://www.imda.gov.sg/-/media/Imda/Files/Programme/AI-Data-Innovation/Trusted-Data-Sharing-Framework.pdf" target="_blank" class="auto_link"><em><u>Trusted Data Sharing Framework</u></em></a></p>
<blockquote>
<p>[ ] Transparency 투명성</p>
<p>[ ] Accessibility Standardisation 접근성</p>
<p>[ ] Fairness and Ethics 공정성</p>
<p>[ ] Public goods 공익성</p>
<p>[ ] Accountability and Security and Data Integrity. 안전과 책무성</p>
</blockquo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