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명 : 옐로우 로드(Yellow Road)
(위 박스에 있는 내용은 초안으로 작성해주시고, 6/19(토)에 함께 확정할 예정입니다.)
사회문제와 가설 Problem statement
문제 Problem
여러분의 분야 중 구체적인 문제를 써보세요
어떤 사회 문제를 다룰 것 인가요?
<시각장애인 이동권 침해문제>
1/시각장애인 이동권
- 장애인의 이동권이란 장애인들이 비장애인들과 마찬가지로 이동하는 데 있어 물리적 제약을 받지 않을 권리를 말한다
- 일반적으로 거리나 건물의 설계가 비장애인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장애인의 이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끔 장애인을 위한 거리 정비, 건물 설계 및 관련 시설 의 설비, 비장애인의 협조 등이 필요하다.
2/시각장애인 보행현황
-보행 시 장애물이 많기때문에 시각장애인 이동에 독립보행은 거의 없고 거의 활동보조인 동행하는 경우가 다수이다. 실제로 시각장애인 협회나 복지관 측에서도 활동 보조인 서비스를 늘리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 1㎞당 보행 불편 44건…장애인 앞에 ‘장애물’ 많다
<시각장애인 인터뷰 >
“전맹이 되고 나니, 이전에는 관심도 없었고 무심코 지나쳤던 것들이 큰 어려움으로 다가왔다. 보행을 할 때는 중간중간 끊어진 유도블록이 아쉬웠고 유도블록 위에 세워진 입간판, 어묵이나 붕어빵을 파는 노점, 불법주차된 차량과 오토바이 등이 장애물로 다가왔다.”
-최상민 (에이블 뉴스 기고)
http://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09&NewsCode=000920191025134129265428#z
3/시각장애인 보행 상의 장애물
-보행 상에 장애물이 많아 독립보행이 힘들다. 점자블록 위의 장애물이 독립보행 시 가장 큰 어려움이다.
<전문가 인터뷰 내용>
- 인터뷰1(시각장애인 복지관 관장님) : 보행할 때 지팡이 짚고 보행하는데 유도 블록이 정비가 되어있으면 큰 문제가 없지만, 오래된 인도는 평평하지 못하고 지팡이도 걸리는 경우가 많다. 도로면 매끈하게 하는 등 오래된 인도의 정비가 필요하다. 유도블럭 위 불법주차 차량이 세워져 있거나 물건을 쌓아 두기도 한다. 또, 볼라드가 너무 유도블럭 가까이 설치되어 있거나, 음향신호기 관리가 부실해 에러가 나는 경우가 있다. 유도블럭 정비가 가장 시급하다.
- 인터뷰2(대구광역시 시각장애인 연합회 이준우 복지사) : 유도블럭을 따라 보행하는데, 중간중간에 주정차 된 차량이나 오토바이를 만나면 ‘길이 끊기는 것’ 과 같다. 유도블럭에 주정차를 하는 것은 ‘의식’의 문제인 것 같다. 현재 장애인 주차구역에 대한 시민들의 의식은 어느정도 형성된 것 같다. 하지만 유도블럭을 막게 주정차를 한 경우에 대해서는 의식이 부족한 것 같다.
-> 하지만 사람들은 점자블록 위에 장애물을 놓으면 안된다는 인식조차 못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사람들의 ‘시각장애인 보행환경’에 대한 인식을 개선해야한다.
가설 설정 statement
사회 변화의 가설을 만들어보세요. 어떤 사회 문제를 다룰 것 인가요?
데이터 프로젝트로 사람들은 어떤 경험을 할 수 있을까요?
문제정의, 문제 해결, 사회의 변화를 이끌 수 있을까요?
음향신호기, 점자블럭의 위치 데이터를 반영한 플랫폼을 만들어가설
시민들이 점자블록 위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 그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면, 그 과정에서 '점자블록 위에 장애물을 올려두면 안된다'는 인식이 형성될 것이다. 이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이동권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음향신호기, 점자블럭, 불법주차차량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매핑하고,
통행 배리어프리 장치의 훼손 여부 및 기타 장애물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한다면 시각장애인의 이동권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기대효과>
- 참여형 프로젝트를 통해 시각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시민인식 개선통행 배리어프리 장치에 대한 개선 및 보수가 이루어질 것임.
-> 시각장애인들이 더욱 안전하게 이동 가능하며, 제대로 사용되지 못한 기존의 장치들을 옐로우맵을 통해 점자블록 확충이 필요 구역을 효과적으로 확인활용할 수 있음.다. 또, 일시적인 보수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관리 가능
일반 시민들도 쉽게 장애인 배리어프리 개선을 위한 문제에 참여 가능하며,
시각장애인 배리어프리 문제에 대한 인식도를 높일 수 있다.(함부로 세운 차량이 시각장애인들에게 어떤 위협이 되는지 등)
- 기존에 없었던 점자블럭의 위치 데이터셋을 지자체에서 활용한다면 점자블럭의 유지 및 보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
대상 For Whom
함께 할 당사자로 시민/당사자, 특정 집단, 특징을 적어보세요.
누구를 위한 프로젝트일까요? (권한, 제공, 사용, 서비스제공 등)
- 주요 사용자는 일반 시민시각장애인
- 휠체어 장애인등 확대 가능
- 일반 시민과 시민단체 등도 데이터 확보를 위해 사용 가능
함께 해야 할 사람, 조직 With Whom
특정한 사람, 조직, 특징을 적어보세요. 누구와 함께 해야 할까요?
(권한, 제공, 사용, 서비스 제공에 있어 필요한 사람, 조직)
1. 일반 시민(시각장애인도 포함)
-일반 장애물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민의 제보가 필요함. 시민들을 중심으로 인식 개선을 촉구해야 한다
2. 자원봉사단체
프로젝트대구 자원봉사단체 활용 초반에는 자원봉사단체를 중심으로 시범적으로 운영하여 참여를 늘릴 수 있는 방안을 촉구한다.
음향신호기, 점자블럭, 보도블럭 등은 체크해야 할 사항이 많기때문에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시민단체에서 수행한다면 더욱 정확한 데이터 확보 가능
Ex) 경기도 자원봉사단체 사례(유사사례)
경기도청년봉사단 2기 기획봉사: 시각장애인들을..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3. 대구시 공공데이터 부처
점자블럭, 음향 신호기, 볼라드 등에 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협력이 필요.
데이터기반 액션플랜
액션 목적 purpose
위의 문제 가설 목적에 맞는 결과물의 형태를 생각해보세요.
해당되는 유형이 있으면 체크✅해보고, 여기에 없다면 작성해주세요.
[✅] 공익데이터 공유
[✅ ] 캠페인 진행
[ ] 의제/정책 제안
[ ] 공론장 개최
[✅ ] 콘텐츠 발행(글, 영상 등)
액션플랜 Action plan
어떻게 데이터를 찾고, 만들고, 액션을 할지 마일스톤을 짜보세요.
진행사항과 진행해야할 일감을 체크리스트처럼 작성해봐도 좋아요.
[데이터 수집 단계]
[ ] 공개되어 있는 데이터인지
[✅ ] 숨어있는 데이터인지 : 정보공개 청구,데이터공개청구, 민간데이터 제공협조요청
음향신호기에타 지역 자료는 존재하나 공개된 대구광역시 도로장애물 데이터 없는 것 확인, 타지역 데이터로 지자체 차원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로 추측. 제공 협조 요청해야할 것으로 보임 대한 위치정보 수집
시각장애인 단체 및 협회에 데이터 제공 요청하여 시각장애인 보행 환경 및 장애물 현황에 대한 정보 필요. 또, 관련 책임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심층적인 데이터 탐색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 새로 정의하여 만들어야 하는 데이터인지
[데이터 정제 단계]
[✅ ] 형식적 오류 검증 후 수정하기 (수치, 범주, 일시, 문자, 위치정보 등)
[✅] 실질적 오류 검증하기
[ ] 중심 목적에 맞는 항목의 데이터를 확보했는지
[✅] 문제의 인사이트를 도출하기 위한 데이터 테이블의 컬럼은 충분한지
[데이터 공유 단계]
[✅ ] 데이터퍼블릭협의 예정
[ ] 데이터퍼블릭
[ ]
깃허브
[ ] 캐글
[ ] c4a
[데이터 분석 단계]
[✅] 통계분석
[✅] 시각화 - 차트, 매핑
[✅] 대시보드
[데이터기반 액션]
[✅] 다른 사람들이 프로젝트의 목적을 이해할 수 있나요?
[ ] 이번 프로젝트 이후의 단계는 무엇이고 언제 할 수 있을까요?
공익데이터 Data for Good
데이터셋 명 Data Set Name
시각장애인 이동편보행환경에서의 시설장애물 위치 현황
데이터셋 개요와 설명 definition & details
데이터 쟁점 issue
법적 이슈와 관련되어 있진 않나요? (개인정보, 저작권 등)
관련없음
To be trusted, Data Set checklist
믿을 수 있는 데이터셋을 위한 체크리스트
Trusted Data Sharing Framework
[ ] Transparency 투명성
[✅ ] Accessibility Standardisation 접근성
[ ] Fairness and Ethics 공정성
[✅ ] Public goods 공익성
[ ] Accountability and Security and Data Integrity. 안전과 책무성
<h2>프로젝트 명 : 옐로우 로드(Yellow Road)</h2>
<blockquote><ul>
<li><p>프로젝트 활동가 이름 : @하림@수민@혜원@귀영</p></li>
<li><p>프로젝트 소모임 일정 : 매주 목요일 19:00</p></li>
<li>
<p>우리 프로젝트에는 아래와 같이 강의자문 또는 활동가 기여가 필요해요.</p>
<ul>
<li><p>점자블록 매핑하는 것</p></li>
<li><p>점자블록에 대한 위치 정보 수집하기</p></li>
</ul>
</li>
<li><p>항해일지 링크 : <a target="_blank" rel="noopener noreferrer nofollow" href="https://datalab.parti.xyz/front/posts/42962" class="auto_link">https://datalab.parti.xyz/front/posts/42962</a></p></li>
</ul></blockquote>
<h2><strong>사회문제와 가설 Problem statement</strong></h2>
<h3><strong>문제 Problem</strong></h3>
<p><em>여러분의 분야 중 구체적인 문제를 써보세요<br>어떤 사회 문제를 다룰 것 인가요?</em></p>
<blockquote>
<p><strong><시각장애인 이동권 침해문제></strong></p>
<p><strong>1/시각장애인 이동권</strong></p>
<p>- 장애인의 이동권이란 <strong>장애인들이 비장애인들과 마찬가지로 이동하는 데 있어 물리적 제약을 받지 않을 권리</strong>를 말한다</p>
<p>- 일반적으로 거리나 건물의 설계가 비장애인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장애인의 이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끔 <strong>장애인을 위한 거리 정비, 건물 설계 및 관련 시설 의 설비, 비장애인의 협조 등이 필요</strong>하다.</p>
<p><strong>2/시각장애인 보행현황</strong></p>
<p>-보행 시 장애물이 많기때문에 시각장애인 이동에 <strong>독립보행은 거의 없고 거의 활동보조인 동행하는 경우가 다수</strong>이다. 실제로 시각장애인 협회나 복지관 측에서도 활동 보조인 서비스를 늘리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p>
<p><strong>- 1㎞당 보행 불편 44건…장애인 앞에 ‘장애물’ 많다</strong></p>
<p><시각장애인 인터뷰 ></p>
<p>“전맹이 되고 나니, 이전에는 관심도 없었고 무심코 지나쳤던 것들이 큰 어려움으로 다가왔다. 보행을 할 때는 중간중간 <strong>끊어진 유도블록이</strong> 아쉬웠고 <strong>유도블록 위에 세워진 입간판</strong>, 어묵이나 붕어빵을 파는 노점, <strong>불법주차된 차량과 오토바이</strong> 등이 장애물로 다가왔다.”</p>
<p>-최상민 (에이블 뉴스 기고)</p>
<p><a target="_blank" rel="noopener noreferrer nofollow" href="http://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09&NewsCode=000920191025134129265428#z" class="auto_link">http://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09&NewsCode=000920191025134129265428#z</a></p>
<p></p>
<p><strong>3/시각장애인 보행 상의 장애물</strong></p>
<p>-보행 상에 장애물이 많아 독립보행이 힘들다. 점자블록 위의 장애물이 독립보행 시 가장 큰 어려움이다.</p>
<p><전문가 인터뷰 내용></p>
<p>- 인터뷰1(시각장애인 복지관 관장님) : 보행할 때 지팡이 짚고 보행하는데 유도 블록이 정비가 되어있으면 큰 문제가 없지만, 오래된 인도는 평평하지 못하고 지팡이도 걸리는 경우가 많다. 도로면 매끈하게 하는 등 오래된 인도의 정비가 필요하다. <strong>유도블럭 위 불법주차 차량이 세워져 있거나 물건을 쌓아 두기도 한다.</strong> 또, <strong>볼라드가 너무 유도블럭 가까이 설치되어 있거나, 음향신호기 관리가 부실해 에러가 나는 경우가 있다. </strong>유도블럭 정비가 가장 시급하다.</p>
<p>- 인터뷰2(대구광역시 시각장애인 연합회 이준우 복지사) : 유도블럭을 따라 보행하는데, <strong>중간중간에 주정차 된 차량이나 오토바이를 만나면 ‘길이 끊기는 것’ </strong>과 같다. <strong>유도블럭에 주정차를 하는 것은 ‘의식’의 문제</strong>인 것 같다. 현재 장애인 주차구역에 대한 시민들의 의식은 어느정도 형성된 것 같다. 하지만 유도블럭을 막게 주정차를 한 경우에 대해서는 의식이 부족한 것 같다.</p>
<p></p>
<p>-> 하지만 사람들은 점자블록 위에 장애물을 놓으면 안된다는 인식조차 못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사람들의 <strong>‘시각장애인 보행환경’</strong>에 대한<strong> 인식</strong>을 개선해야한다.</p>
<p></p>
</blockquote>
<h3><strong>가설 설정 statement</strong></h3>
<p><em>사회 변화의 가설을 만들어보세요. 어떤 사회 문제를 다룰 것 인가요?<br>데이터 프로젝트로 사람들은 어떤 경험을 할 수 있을까요?<br>문제정의, 문제 해결, 사회의 변화를 이끌 수 있을까요?</em></p>
<blockquote><ul><li>
<p><strong>음향신호기, 점자블럭의 위치 데이터를 반영한 플랫폼을 만들어</strong></p>
<p><strong>시민들이 점자블록 위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 그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면, 그 과정에서 '점자블록 위에 장애물을 올려두면 안된다'는 인식이 형성될 것이다. 이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이동권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strong></p>
</li></ul></blockquote>
<blockquote>
<p><기대효과></p>
<p>- 참여형 프로젝트를 통해 시각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시민인식 개선</p>
<p>- 옐로우맵을 통해 점자블록 확충이 필요 구역을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p>
<p>- 기존에 없었던 점자블럭의 위치 데이터셋을 지자체에서 활용한다면 점자블럭의 유지 및 보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p>
</blockquote>
<h3><strong>대상 For Whom</strong></h3>
<p><em>함께 할 당사자로 시민/당사자, 특정 집단, 특징을 적어보세요.<br>누구를 위한 프로젝트일까요? (권한, 제공, 사용, 서비스제공 등)</em></p>
<blockquote><p>- 주요 사용자는 <strong>일반 시민</strong></p></blockquote>
<h3><strong>함께 해야 할 사람, 조직 With Whom</strong></h3>
<p><em>특정한 사람, 조직, 특징을 적어보세요. 누구와 함께 해야 할까요?<br>(권한, 제공, 사용, 서비스 제공에 있어 필요한 사람, 조직)</em></p>
<blockquote>
<p><strong>1. 일반 시민</strong></p>
<p>-일반 시민들을 중심으로 인식 개선을 촉구해야 한다</p>
<ul>
<li><p> 프로젝트 실행방안에 ‘신고 시 건별 자원봉사 시간 제공’</p></li>
<li><p> QR코드 배부해서 참여를 늘리기</p></li>
</ul>
<p></p>
<p><strong>2. 자원봉사단체</strong></p>
<ul><li>
<p>프로젝트 초반에는 자원봉사단체를 중심으로 시범적으로 운영하여 참여를 늘릴 수 있는 방안을 촉구한다.</p>
<p></p>
<p>Ex) 경기도 자원봉사단체 사례(유사사례)</p>
<p>경기도청년봉사단 2기 기획봉사: 시각장애인들을.. : 네이버블로그 (naver.com)</p>
<p></p>
</li></ul>
<p><strong>3. 대구시 공공데이터 부처</strong></p>
<p>점자블럭, 음향 신호기, 볼라드 등에 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협력이 필요.</p>
</blockquote>
<h2><strong>데이터기반 액션플랜</strong></h2>
<h3><strong>액션 목적 purpose</strong></h3>
<p><em>위의 문제 가설 목적에 맞는 결과물의 형태를 생각해보세요.<br>해당되는 유형이 있으면 체크</em>✅<em>해보고, 여기에 없다면 작성해주세요.</em></p>
<blockquote>
<p>[✅] 공익데이터 공유</p>
<p>[✅ ] 캠페인 진행</p>
<p>[ ] 의제/정책 제안</p>
<p>[ ] 공론장 개최</p>
<p>[ ] 콘텐츠 발행(글, 영상 등)</p>
</blockquote>
<h3><strong>액션플랜 Action plan</strong></h3>
<p><em>어떻게 데이터를 찾고, 만들고, 액션을 할지 마일스톤을 짜보세요.<br>진행사항과 진행해야할 일감을 체크리스트처럼 작성해봐도 좋아요.</em></p>
<p><strong><u>[데이터 수집 단계]</u></strong></p>
<blockquote>
<p>[ ] 공개되어 있는 데이터인지</p>
<p>[✅ ] 숨어있는 데이터인지 : 정보공개 청구,데이터공개청구, 민간데이터 제공협조요청</p>
<ul>
<li><p>음향신호기에 대한 위치정보 수집</p></li>
<li><p>시각장애인 단체 및 협회에 데이터 제공 요청하여 시각장애인 보행 환경 및 장애물 현황에 대한 정보 필요. 또, 관련 책임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심층적인 데이터 탐색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p></li>
</ul>
<p></p>
<p>[ ✅] 새로 정의하여 만들어야 하는 데이터인지</p>
<ul><li><p>점자블록 위치 데이터 수집해야함</p></li></ul>
</blockquote>
<p><strong><u>[데이터 정제 단계]</u></strong></p>
<blockquote>
<p>[✅ ] 형식적 오류 검증 후 수정하기 (수치, 범주, 일시, 문자, 위치정보 등)</p>
<p>[✅] 실질적 오류 검증하기</p>
<p>[ ] 중심 목적에 맞는 항목의 데이터를 확보했는지</p>
<p>[✅] 문제의 인사이트를 도출하기 위한 데이터 테이블의 컬럼은 충분한지</p>
</blockquote>
<p><strong><u>[데이터 공유 단계]</u></strong></p>
<blockquote>
<p>[✅ ] 데이터퍼블릭</p>
<p>[ ] 깃허브</p>
<p>[ ] 캐글</p>
<p>[ ] c4a</p>
</blockquote>
<p><strong><u>[데이터 분석 단계]</u></strong></p>
<blockquote>
<p>[✅] 통계분석</p>
<p>[✅] 시각화 - 차트, 매핑</p>
</blockquote>
<p><strong><u>[데이터기반 액션]</u></strong></p>
<blockquote>
<p>[✅] 다른 사람들이 프로젝트의 목적을 이해할 수 있나요?</p>
<ul><li>
<p>범시민적인 참여 독려 필요</p>
<p></p>
</li></ul>
<p>[ ] 이번 프로젝트 이후의 단계는 무엇이고 언제 할 수 있을까요?<br></p>
</blockquote>
<h2><strong>공익데이터 Data for Good</strong></h2>
<h3><strong>데이터셋 명 Data Set Name</strong></h3>
<blockquote><p>장애인 이동편의 시설 위치 현황</p></blockquote>
<h3><strong>데이터셋 개요와 설명 definition & details</strong></h3>
<blockquote><ul><li><p>음향신호기, 점자블록과 같은 장애인 이동 편의시설의 위치데이터를 모아 시민들이 더욱 쉽게 장애물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함.</p></li></ul></blockquote>
<h3><strong>데이터 쟁점 issue</strong></h3>
<p><em>법적 이슈와 관련되어 있진 않나요? (개인정보, 저작권 등)</em></p>
<blockquote><p>관련없음</p></blockquote>
<h3><strong>To be trusted, Data Set checklist</strong></h3>
<h3><strong>믿을 수 있는 데이터셋을 위한 체크리스트</strong></h3>
<p><a target="_blank" rel="noopener noreferrer nofollow" href="https://www.imda.gov.sg/-/media/Imda/Files/Programme/AI-Data-Innovation/Trusted-Data-Sharing-Framework.pdf" class="auto_link"><em><u>Trusted Data Sharing Framework</u></em></a></p>
<blockquote>
<p>[ ] Transparency 투명성</p>
<p>[✅ ] Accessibility Standardisation 접근성</p>
<p>[ ] Fairness and Ethics 공정성</p>
<p>[✅ ] Public goods 공익성</p>
<p>[ ] Accountability and Security and Data Integrity. 안전과 책무성</p>
</blockquote>
<h2>프로젝트 명 : 옐로우 로드(Yellow Road)</h2>
<blockquote>
<ul>
<li><p>프로젝트 활동가 이름 : @하림@수민</p></li>
<li><p>프로젝트 소모임 일정 : (가안으로 적어주세요.)</p></li>
<li>
<p>우리 프로젝트에는 아래와 같이 강의자문 또는 활동가 기여가 필요해요.</p>
<ul><li><p>(구체적으로 작성해주세요)</p></li></ul>
</li>
<li><p>항해일지 링크 : <a target="_blank" rel="noopener noreferrer nofollow" href="https://datalab.parti.xyz/front/posts/42962" class="auto_link">https://datalab.parti.xyz/front/posts/42962</a></p></li>
</ul>
<p>(위 박스에 있는 내용은 초안으로 작성해주시고, 6/19(토)에 함께 확정할 예정입니다.)</p>
<p></p>
</blockquote>
<h2><strong>사회문제와 가설 Problem statement</strong></h2>
<h3><strong>문제 Problem</strong></h3>
<p><em>여러분의 분야 중 구체적인 문제를 써보세요<br>어떤 사회 문제를 다룰 것 인가요?</em></p>
<blockquote>
<p><strong><시각장애인 이동권 침해문제></strong></p>
<p><strong>1/시각장애인 이동권</strong></p>
<p>- 장애인의 이동권이란 <strong>장애인들이 비장애인들과 마찬가지로 이동하는 데 있어 물리적 제약을 받지 않을 권리</strong>를 말한다</p>
<p>- 일반적으로 거리나 건물의 설계가 비장애인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장애인의 이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끔 <strong>장애인을 위한 거리 정비, 건물 설계 및 관련 시설 의 설비, 비장애인의 협조 등이 필요</strong>하다.</p>
<p><strong>2/시각장애인 보행현황 </strong></p>
<p>-보행 시 장애물이 많기때문에 시각장애인 이동에 <strong>독립보행은 거의 없고 거의 활동보조인 동행하는 경우가 다수</strong>이다. 실제로 시각장애인 협회나 복지관 측에서도 활동 보조인 서비스를 늘리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p>
<p><strong>- 1㎞당 보행 불편 44건…장애인 앞에 ‘장애물’ 많다</strong></p>
<p><시각장애인 인터뷰 ></p>
<p>“전맹이 되고 나니, 이전에는 관심도 없었고 무심코 지나쳤던 것들이 큰 어려움으로 다가왔다. 보행을 할 때는 중간중간 <strong>끊어진 유도블록이</strong> 아쉬웠고 <strong>유도블록 위에 세워진 입간판</strong>, 어묵이나 붕어빵을 파는 노점, <strong>불법주차된 차량과 오토바이</strong> 등이 장애물로 다가왔다.”</p>
<p>-최상민 (에이블 뉴스 기고)</p>
<p><a target="_blank" rel="noopener noreferrer nofollow" href="http://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09&NewsCode=000920191025134129265428#z" class="auto_link">http://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09&NewsCode=000920191025134129265428#z</a></p>
<p></p>
<p><strong>3/시각장애인 보행 상의 장애물</strong></p>
<p>-보행 상에 장애물이 많아 독립보행이 힘들다. 점자블록 위의 장애물이 독립보행 시 가장 큰 어려움이다.</p>
<p><전문가 인터뷰 내용></p>
<p>- 인터뷰1(시각장애인 복지관 관장님) : 보행할 때 지팡이 짚고 보행하는데 유도 블록이 정비가 되어있으면 큰 문제가 없지만, 오래된 인도는 평평하지 못하고 지팡이도 걸리는 경우가 많다. 도로면 매끈하게 하는 등 오래된 인도의 정비가 필요하다. <strong>유도블럭 위 불법주차 차량이 세워져 있거나 물건을 쌓아 두기도 한다.</strong> 또, <strong>볼라드가 너무 유도블럭 가까이 설치되어 있거나, 음향신호기 관리가 부실해 에러가 나는 경우가 있다. </strong>유도블럭 정비가 가장 시급하다.</p>
<p>- 인터뷰2(대구광역시 시각장애인 연합회 이준우 복지사) : 유도블럭을 따라 보행하는데, <strong>중간중간에 주정차 된 차량이나 오토바이를 만나면 ‘길이 끊기는 것’ </strong>과 같다. <strong>유도블럭에 주정차를 하는 것은 ‘의식’의 문제</strong>인 것 같다. 현재 장애인 주차구역에 대한 시민들의 의식은 어느정도 형성된 것 같다. 하지만 유도블럭을 막게 주정차를 한 경우에 대해서는 의식이 부족한 것 같다.</p>
<p></p>
<p>-> 하지만 사람들은 점자블록 위에 장애물을 놓으면 안된다는 인식조차 못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사람들의 <strong>‘시각장애인 보행환경’</strong>에 대한<strong> 인식</strong>을 개선해야한다.</p>
<p></p>
</blockquote>
<h3><strong>가설 설정 statement</strong></h3>
<p><em>사회 변화의 가설을 만들어보세요. 어떤 사회 문제를 다룰 것 인가요?<br>데이터 프로젝트로 사람들은 어떤 경험을 할 수 있을까요?<br>문제정의, 문제 해결, 사회의 변화를 이끌 수 있을까요?</em></p>
<blockquote><ul>
<li>
<p>가설</p>
<p></p>
</li>
<li>
<p><strong>음향신호기, 점자블럭, 불법주차차량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매핑하고,</strong></p>
<p><strong>통행 배리어프리 장치의 훼손 여부 및 기타 장애물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한다면 시각장애인의 이동권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strong></p>
</li>
</ul></blockquote>
<blockquote>
<p>기대효과</p>
<ul><li>
<p>점자블럭, 음향신호기 등 시각장애인 통행 배리어프리 장치에 대한 개선 및 보수가 이루어질 것임.</p>
<p></p>
</li></ul>
<p>-> 시각장애인들이 더욱 안전하게 이동 가능하며, 제대로 사용되지 못한 기존의 장치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 일시적인 보수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관리 가능</p>
<ul><li>
<p>일반 시민들도 쉽게 장애인 배리어프리 개선을 위한 문제에 참여 가능하며,</p>
<p>시각장애인 배리어프리 문제에 대한 인식도를 높일 수 있다.(함부로 세운 차량이 시각장애인들에게 어떤 위협이 되는지 등)</p>
</li></ul>
<p><br></p>
<p></p>
</blockquote>
<h3><strong>대상 For Whom</strong></h3>
<p><em>함께 할 당사자로 시민/당사자, 특정 집단, 특징을 적어보세요.<br>누구를 위한 프로젝트일까요? (권한, 제공, 사용, 서비스제공 등)</em></p>
<blockquote>
<p>- 주요 사용자는 <strong>시각장애인</strong></p>
<p>- <strong>휠체어 장애인</strong>등 확대 가능</p>
<p>-<strong> 일반 시민</strong>과 <strong>시민단체</strong> 등도 데이터 확보를 위해 사용 가능</p>
</blockquote>
<h3><strong>함께 해야 할 사람, 조직 With Whom</strong></h3>
<p><em>특정한 사람, 조직, 특징을 적어보세요. 누구와 함께 해야 할까요?<br>(권한, 제공, 사용, 서비스 제공에 있어 필요한 사람, 조직)</em></p>
<blockquote>
<p><strong>1. 일반 시민(시각장애인도 포함)</strong></p>
<p>- 장애물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민의 제보가 필요함.</p>
<ul>
<li><p>모니터링단을 해서 주도적 활동</p></li>
<li><p>사회문제해결 봉사 : 앱웹을 통해 홍보 참여독려</p></li>
</ul>
<p></p>
<p><strong>2. 자원봉사단체</strong></p>
<ul><li>
<p><strong>대구 자원봉사단체 활용</strong></p>
<p>음향신호기, 점자블럭, 보도블럭 등은 체크해야 할 사항이 많기때문에</p>
<p>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시민단체에서 수행한다면 더욱 정확한 데이터 확보 가능</p>
<p></p>
<p>Ex) 경기도 자원봉사단체 사례</p>
<p>경기도청년봉사단 2기 기획봉사: 시각장애인들을.. : 네이버블로그 (naver.com)</p>
<p></p>
<p></p>
</li></ul>
<p></p>
<p><strong>3. 대구시 공공데이터 부처</strong></p>
<p>점자블럭, 음향 신호기, 볼라드 등에 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협력이 필요.</p>
<p></p>
</blockquote>
<h2><strong>데이터기반 액션플랜</strong></h2>
<h3><strong>액션 목적 purpose</strong></h3>
<p><em>위의 문제 가설 목적에 맞는 결과물의 형태를 생각해보세요.<br>해당되는 유형이 있으면 체크</em>✅<em>해보고, 여기에 없다면 작성해주세요.</em></p>
<blockquote>
<p>[✅] 공익데이터 공유</p>
<p>[ ] 캠페인 진행</p>
<p>[ ] 의제/정책 제안</p>
<p>[ ] 공론장 개최</p>
<p>[✅ ] 콘텐츠 발행(글, 영상 등)</p>
</blockquote>
<h3><strong>액션플랜 Action plan</strong></h3>
<p><em>어떻게 데이터를 찾고, 만들고, 액션을 할지 마일스톤을 짜보세요.<br>진행사항과 진행해야할 일감을 체크리스트처럼 작성해봐도 좋아요.</em></p>
<p><strong><u>[데이터 수집 단계]</u></strong></p>
<blockquote>
<p>[ ] 공개되어 있는 데이터인지</p>
<p>[✅ ] 숨어있는 데이터인지 : 정보공개 청구,데이터공개청구, 민간데이터 제공협조요청</p>
<ul>
<li><p>타 지역 자료는 존재하나 공개된 대구광역시 도로장애물 데이터 없는 것 확인, 타지역 데이터로 지자체 차원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로 추측. 제공 협조 요청해야할 것으로 보임</p></li>
<li><p>시각장애인 단체 및 협회에 데이터 제공 요청하여 시각장애인 보행 환경 및 장애물 현황에 대한 정보 필요. 또, 관련 책임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심층적인 데이터 탐색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p></li>
</ul>
<p></p>
<p>[ ✅] 새로 정의하여 만들어야 하는 데이터인지</p>
<ul><li><p>배리어프리 장치의 상태, 작동 여부 등에 대한 최신 데이터 수집 필요</p></li></ul>
<ul><li><p>불법주차 차량을 포함한 기타 도로 위 장애물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 필요</p></li></ul>
</blockquote>
<p><strong><u>[데이터 정제 단계]</u></strong></p>
<blockquote>
<p>[✅ ] 형식적 오류 검증 후 수정하기 (수치, 범주, 일시, 문자, 위치정보 등)</p>
<p>[✅] 실질적 오류 검증하기</p>
<p>[ ] 중심 목적에 맞는 항목의 데이터를 확보했는지</p>
<p>[✅] 문제의 인사이트를 도출하기 위한 데이터 테이블의 컬럼은 충분한지</p>
</blockquote>
<p><strong><u>[데이터 공유 단계]</u></strong></p>
<blockquote>
<p>[✅] 협의 예정</p>
<p>[ ] 데이터퍼블릭</p>
<p>[ ] 깃허브</p>
<p>[ ] 캐글</p>
<p>[ ] c4a</p>
</blockquote>
<p><strong><u>[데이터 분석 단계]</u></strong></p>
<blockquote>
<p>[✅] 통계분석</p>
<p>[✅] 시각화 - 차트, 매핑</p>
<p>[✅] 대시보드</p>
</blockquote>
<p><strong><u>[데이터기반 액션]</u></strong></p>
<blockquote>
<p>[✅] 다른 사람들이 프로젝트의 목적을 이해할 수 있나요?</p>
<ul><li>
<p>범시민적인 참여 독려 필요</p>
<p></p>
</li></ul>
<p>[ ] 이번 프로젝트 이후의 단계는 무엇이고 언제 할 수 있을까요?<br></p>
</blockquote>
<h2><strong>공익데이터 Data for Good</strong></h2>
<h3><strong>데이터셋 명 Data Set Name</strong></h3>
<blockquote><p><strong>시각장애인 보행환경에서의 장애물 현황</strong></p></blockquote>
<h3><strong>데이터셋 개요와 설명 definition & details</strong></h3>
<blockquote><ul><li><p>고장난 음향신호기, 불법주차 차량, 볼라드 등 <strong>‘길거리 장애물’</strong> 의 현황을 계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시각화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셋을 만듬.</p></li></ul></blockquote>
<h3><strong>데이터 쟁점 issue</strong></h3>
<p><em>법적 이슈와 관련되어 있진 않나요? (개인정보, 저작권 등)</em></p>
<blockquote><ul>
<li><p>공공시설물의 경우 개인정보 문제를 피할 수 있음</p></li>
<li><p>차량의 경우 번호판 등 개인정보를 표기하지 않고 장애물의 위치만 게시할 것</p></li>
</ul></blockquote>
<h3><strong>To be trusted, Data Set checklist</strong></h3>
<h3><strong>믿을 수 있는 데이터셋을 위한 체크리스트</strong></h3>
<p><a target="_blank" rel="noopener noreferrer nofollow" href="https://www.imda.gov.sg/-/media/Imda/Files/Programme/AI-Data-Innovation/Trusted-Data-Sharing-Framework.pdf" class="auto_link"><em><u>Trusted Data Sharing Framework</u></em></a></p>
<blockquote>
<p>[ ] Transparency 투명성</p>
<p>[ ] Accessibility Standardisation 접근성</p>
<p>[ ] Fairness and Ethics 공정성</p>
<p>[ ] Public goods 공익성</p>
<p>[ ] Accountability and Security and Data Integrity. 안전과 책무성</p>
</blockquo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