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한 팀 소개 부탁드립니다.
빠띠 공익데이터실험실을 어떻게 알게 되셨나요?
진행하려고 하는 프로젝트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주세요.
2018년 쓰레기대란이 나고 쓰레기 뒷처리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높아졌죠. 제로웨이스트다 플라스틱프리다 시민들의 실천도 활발해졌지만, 여전히 우리가 버리고 있는 쓰레기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하는 현실이죠. 이런 정보가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면, 환경을 위한 시민들의 실천이 보다 효율적으로 변화될 수 있고, 또 더 많은 사람이 참여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그런 기대가 있어요.
우리는 집 밖으로 쓰레기를 내놓은 순간, 쓰레기의 일생이 끝이라고 생각하죠. 하지만 쓰레기는 그때부터 수거되고 분류되고 제 쓰임에 따라 묻히거나 태워지거나 재사용되거나 또는 재활용됩니다. 이런 정보를 더 많은 시민들이 정확하게 알게 되면, 사람들이 쓰레기를 만드는 자세도, 또 쓰레기를 버리는 자세에도 조금의 변화가 있지 않을까요?
프로젝트 결과물은 어떤 공익적 가치가 있을까요?
기타 공익데이터실험실에 바라는바를 간단하게 부탁드립니다.
<ul>
<li>
<p>간단한 팀 소개 부탁드립니다.</p>
<ul><li>
<p>(저는 팀은 아니고 개인입니다) 최지라고 하고요. 쓰레기덕질을 일삼는 쓰레기 덕후입니다.</p>
<p></p>
</li></ul>
</li>
<li>
<p>빠띠 공익데이터실험실을 어떻게 알게 되셨나요?</p>
<ul><li>
<p>빠띠 페이스북에서 봤어요. 제 호기심을 불러일으킨 이유들이 몇 개 있었는데, 그 중에 하나는 딱 가을만 한다는 사실이었어요. 코로나19로 업무도 일상도 많이 쳐져 있는 상태인데, 이런 새로운 일감이 활력을 주지 않을까 기대가 되더라고요.</p>
<p></p>
</li></ul>
</li>
<li>
<p>진행하려고 하는 프로젝트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주세요.</p>
<ul><li><p>우리가 쓰레기를 버리는 순간부터, 쓰레기는 어떤 여행을 하는지를 지도에 구현하는 프로젝트입니다.</p></li></ul>
<ul>
<li>
<p>2018년 쓰레기대란이 나고 쓰레기 뒷처리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높아졌죠. 제로웨이스트다 플라스틱프리다 시민들의 실천도 활발해졌지만, 여전히 우리가 버리고 있는 쓰레기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하는 현실이죠. 이런 정보가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면, 환경을 위한 시민들의 실천이 보다 효율적으로 변화될 수 있고, 또 더 많은 사람이 참여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그런 기대가 있어요.</p>
<p></p>
</li>
<li>
<p>우리는 집 밖으로 쓰레기를 내놓은 순간, 쓰레기의 일생이 끝이라고 생각하죠. 하지만 쓰레기는 그때부터 수거되고 분류되고 제 쓰임에 따라 묻히거나 태워지거나 재사용되거나 또는 재활용됩니다. 이런 정보를 더 많은 시민들이 정확하게 알게 되면, 사람들이 쓰레기를 만드는 자세도, 또 쓰레기를 버리는 자세에도 조금의 변화가 있지 않을까요?</p>
<p></p>
</li>
</ul>
</li>
<li>
<p>프로젝트 결과물은 어떤 공익적 가치가 있을까요?</p>
<ul><li><p>위에 답변한 것처럼 시민들이 쓰레기에 대한 정보를 더 자세히 알고 자신의 소비 습관을 돌이켜 보고, 쓰레기를 더 제대로 잘 버리게 되지 않을까 기대합니다. 그게 바로 공익적 가치가 아닐까요?<br></p></li></ul>
</li>
<li>
<p>기타 공익데이터실험실에 바라는바를 간단하게 부탁드립니다.</p>
<ul><li>
<p>짧은 가을, 재밌게 해 보길 바랍니다.</p>
<p></p>
</li></ul>
</li>
</ul>
<ol><li><p>간단한 팀 소개 부탁드립니다.</p></li></ol>
<ul><li><p>(저는 팀은 아니고 개인입니다) 최지라고 하고요. 쓰레기덕질을 일삼는 쓰레기 덕후입니다.</p></li></ul>
<ol>
<li>
<p>빠띠 공익데이터실험실을 어떻게 알게 되셨나요?</p>
<ul><li>
<p>빠띠 페이스북에서 봤어요. 제 호기심을 불러일으킨 이유들이 몇 개 있었는데, 그 중에 하나는 딱 가을만 한다는 사실이었어요. 코로나19로 업무도 일상도 많이 쳐져 있는 상태인데, 이런 새로운 일감이 활력을 주지 않을까 기대가 되더라고요.</p>
<p></p>
</li></ul>
</li>
<li>
<p>진행하려고 하는 프로젝트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주세요.</p>
<ul><li><p>우리가 쓰레기를 버리는 순간부터, 쓰레기는 어떤 여행을 하는지를 지도에 구현하는 프로젝트입니다.</p></li></ul>
<ul>
<li>
<p>2018년 쓰레기대란이 나고 쓰레기 뒷처리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높아졌죠. 제로웨이스트다 플라스틱프리다 시민들의 실천도 활발해졌지만, 여전히 우리가 버리고 있는 쓰레기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하는 현실이죠. 이런 정보가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면, 환경을 위한 시민들의 실천이 보다 효율적으로 변화될 수 있고, 또 더 많은 사람이 참여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그런 기대가 있어요.</p>
<p></p>
</li>
<li>
<p>우리는 집 밖으로 쓰레기를 내놓은 순간, 쓰레기의 일생이 끝이라고 생각하죠. 하지만 쓰레기는 그때부터 수거되고 분류되고 제 쓰임에 따라 묻히거나 태워지거나 재사용되거나 또는 재활용됩니다. 이런 정보를 더 많은 시민들이 정확하게 알게 되면, 사람들이 쓰레기를 만드는 자세도, 또 쓰레기를 버리는 자세에도 조금의 변화가 있지 않을까요?</p>
<p></p>
</li>
</ul>
</li>
<li>
<p>프로젝트 결과물은 어떤 공익적 가치가 있을까요?</p>
<ul><li><p>위에 답변한 것처럼 시민들이 쓰레기에 대한 정보를 더 자세히 알고 자신의 소비 습관을 돌이켜 보고, 쓰레기를 더 제대로 잘 버리게 되지 않을까 기대합니다. 그게 바로 공익적 가치가 아닐까요?<br></p></li></ul>
</li>
<li>
<p>기타 공익데이터실험실에 바라는바를 간단하게 부탁드립니다.</p>
<ul><li>
<p>짧은 가을, 재밌게 해 보길 바랍니다.</p>
<p></p>
</li></ul>
</li>
</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