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인 보행지도 만들기
기억에 남았던 활동
데이터활동 과정 속에 있었던 좋았던 점, 인상깊었던 일, 작업들를 적어주세요.
시작할때 서로 웃으면서 인사를 나누어서 좋았고 또, 첫 모임 이후로 뵙게 되어 더욱 반가웠습니다!
논의 과정에서도 다들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시해주셔서 한결 수월했던 것 같습니다!_하림수민
개선해야할 점🔮
프로젝트에서 개선해야할 점이나 일감을 적어주세요.
개선해야 할 점은 딱히 없는 것 같습니다! 지금도 너무 좋습니다 ㅎㅎ_하림수민
필요한 점
자문, 교육이 필요한 사항을 적어주세요.
데이터 전문가 자문
필요한 지원 사항 (강의, 자문, 활동 지원 등)
프로젝트 로그
프로젝트 첫 만남
6/19
소모임 일정 및 온오프라인 여부
이번주 체크리스트 & 일감 기여
[인터뷰 팀]- 송하림, 남수민
[데이터 조사 팀]-김희동, 신혜원, 윤귀영
<자료 조사> 시각장애인이 보행 상에 겪는 문제점 및 심각성
<자료,데이터 조사>
대구 시 내의 시각장애인 복지정책 현황/ 편의시설 (‘보행환경’을 중심으로)
<데이터 조사> 대구시 시각장애인 인구 수 및 규모
<데이터 조사>
-대구 시 내의 차량진입제한시설(볼라드), 불법주차, 음향신호기, 점자블럭에 관한 공공 데이터 (위치정보, 파손 및 관리 여부가 담긴)
-그 밖의 시각장애인 보행환경에 대한 자료 조사
※ 데이터 셋 찾기가 어려울 경우 정보공개청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니, 청구 시 어떤 데이터가 필요할지 조사하면서 고민해보고, 공유해주세요!
<6.22> 4주차 소모임
기억에 남았던 활동
데이터활동 과정 속에 있었던 좋았던 점, 인상깊었던 일, 작업들를 적어주세요.
수민: 아이디어에 대한 주요 쟁점들을 공유하고 중요한 요소들을 찾아내는 의미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다들 의견을 너무 잘 내주셔서 원활한 회의가 되었던 것 같아요:)
하림: 자료조사를 잘해주신 덕분에 문제 현황을 잘 파악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혜원: 여러 생각이 섞여 복잡한 문제처럼 느껴졌던 것들이 함께 이야기해 보면서 명확해진 것 같아서 좋았습니다!
개선해야할 점🔮
프로젝트에서 개선해야할 점이나 일감을 적어주세요.
어떤 형태의 최종 결과물을 낼 것인가 (어플, 웹 상 지도 등) 고민해보기
필요한 점
자문, 교육이 필요한 사항을 적어주세요.
프로젝트 로그
모임 일시 : 6월 22일 19시-20시30분
활동가 : 남수민, 송하림, 신혜원, 윤귀영
회의내용
전문가 자문 받을 내용:
1. 어떤 방법으로 시각화하는게 효과적일지
2. 위치데이터를 지도로 나타내기
3. 어플로 디벨롭할 수 있을지
4. 음성지원 서비스 가능한지
음향신호기 교란(음향신호기 위치 및 파손여부에 대한 데이터)
볼라드(차량진입방지시설에 대한 위치정보)
전동 킥보드(전동킥보드 위치정보)
옐로우 카펫 (어린이보호구역의 옐로우 카펫이 점자블록과 혼동되는 점, 어린이보호구역 위치정보)
이번주 체크리스트 & 일감 기여

<6.24> 전문가 자문 회의
기억에 남았던 활동
데이터활동 과정 속에 있었던 좋았던 점, 인상깊었던 일, 작업들를 적어주세요.
프로젝트 방향에 대해 다시 고민해보고 많은 의견을 나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개선해야할 점🔮
프로젝트에서 개선해야할 점이나 일감을 적어주세요.
필요한 점
자문, 교육이 필요한 사항을 적어주세요.
프로젝트 로그
활동가 : 송하림, 남수민 / 윤귀영, 신혜원
통행 배리어프리 장치의 훼손 여부와 기타 장애물에 대한 실시간 정보가 제공되는 보행지도를 만들어 시각장애인 이동권을 향상에 기여합니다.
질문내용
1. 어떤 방법으로 시각화하는게 효과적일지
2. 위치데이터를 지도로 나타내기
3. 어플로 디벨롭할 수 있을지
4. 음성지원 서비스 가능한지
자문내용
위치데이터의 구현 문제 : 어플리케이션으로 디벨롭하는 것은 깃헙등을 사용하여 가능. 최대한 코딩을 줄이고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면 좋겠음. 음성지원은 텍스트를 읽어주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
데이터가 나와봐야 데이터를 어느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을지 결정할 수 있음. 수집한 데이터가 위치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것이 중요함
전동킥보드는 민간 데이터라 사용이 어려울 수 있음. 실시간 정보라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음
볼라드 데이터 : 대구는 존재하지 않음, 경기도 존재
음향신호기의 유무, 위치는 신호기관련, 횡단보도 관련데이터가 존재할 것이나 파손여부데이터는 지역을 좁혀서 직접확인할 필요 있음.
키워드 검색을 다르게 해볼 것을 추천
전수조사가 필요하면 지역을 좁히는 것이 효율적일 것임. 지역을 좁혀볼 생각은?
점자블럭(유도블럭) 불법주차차량, 물건 적재로 인한 보행이 불편함을느끼고 있다고 들었음. 이것을 구현할 수 있는지?
이미지를 표현하는 것은 가능, 이모티콘 표현 가능
점자블럭이 모든 도로에 있는 건지, 들쭉날쭉한 점자블럭을 표현할 수 있는지 검토 필요
공공데이터 포털 자료 : 대구 횡단보도 데이터(GIS) 횡단보도에 각 id가 부여되어있음, 예를들어 음향신호기 파손여부등을 업데이트하면 상세한 지도를 만들 수도 있을 거임. 세밀한 형태의 지도도 구현이 가능할 것임 (QGIS 는 오픈소스) / 지역 고민 필요
<6.24> 전문가 자문 후, 두 번째 소모임
기억에 남았던 활동
데이터활동 과정 속에 있었던 좋았던 점, 인상깊었던 일, 작업들를 적어주세요.
프로젝트 방향에 대해 다시 고민해보고 많은 의견을 나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개선해야할 점🔮
프로젝트에서 개선해야할 점이나 일감을 적어주세요.
필요한 점
자문, 교육이 필요한 사항을 적어주세요.
프로젝트 로그
모임 일시 : 6월 24일
활동가 : 남수민, 송하림, 신혜원
회의내용
프로젝트 방향성 재설정
<문제점 분석>
현직자 인터뷰를 통해 기존에 제기했던 문제점들 보다 유도블럭 위의 장애물이 시각장애인 보행에 있어 어려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게됨.
-> 따라서 유도블럭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결정함.
<방향성>
유도블럭위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도 길을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지도를 만드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나, 위치 정보가 정확하지않거나 유도블럭이 잘못 설치되어있는 경우 더 큰 위험을 일으킬 수 있음
-> 유도블럭 위에 장애물을 두지 않도록 시민의 인식을 개선하는 방향
프로젝트 상세 내용
<프로젝트 개요>: 점자블럭/음향신호기/볼라드의 위치를 매핑하고, 일반 시민들이 장애물이 있거나 기계 고장이 있는 부분에 지도 위에서 웹이나 앱 상에서의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문제상황>
1/점자블럭
인터뷰 결과, 점자블럭 위의 장애물이 시각장애인 보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일반 시민들이 유도블럭 위에 기타 장애물(물건, 차량)을 두면 안된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했기 때문이다.(여기에 대한 설문조사가 있으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 이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 개선이 필요함
2/음향신호기
음향신호기의 경우,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현직자 인터뷰)
-> 음향신호기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점검이 필요
3/볼라드
볼라드의 경우, 안전 상의 이유로 필요하긴 하지만 그 자체로 장애물이 되기도 한다.
-> 볼라드에 대한 위치 정보 파악해 시각장애인들이 부딪히지 않도록 해야함.
<프로젝트 상세설명>: 점자블럭/음향신호기/볼라드의 위치를 매핑하고, 웹이나 앱을 통해 일반 시민들이 점자블럭 위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해당 장소에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볼라드의 경우, 존재 자체가 장애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지도 상에 그 위치를 표시한다. 음향신호기의 경우, 고장 및 규격이 맞지 않은 경우가 있다면 고장 스티커 부착한다.
<기대효과>: 유도블럭 위 장애물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 수준을 높일 수 있고, 스티커가 많이 붙은 구간의 경우, 집중적인 관리가 가능해진다. 시민 참여를 통해 음향신호기와 같은 기계의 지속적인 점검과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7.1> 7월 1주차 소모임
기억에 남았던 활동
데이터활동 과정 속에 있었던 좋았던 점, 인상깊었던 일, 작업들를 적어주세요.
지난번에 구상했던 아이디어를 리마인드하고 조금 더 다듬을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개선해야할 점🔮
프로젝트에서 개선해야할 점이나 일감을 적어주세요.
유도블럭, 볼라드, 음향신호기의 위치 데이터에 관해 정보공개청구 하기
프로젝트 홍보 또는 활성화 방안에 대한 아이디어 공유
필요한 점
자문, 교육이 필요한 사항을 적어주세요.
프로젝트 로그
모임 일시 : 7월 1일
활동가 : 송하림, 신혜원, 윤귀영
회의내용
아이디어 구현을 위해 필요한 사항에 대해 논의
1/ 웹 상에서 구현? 앱을 통해 구현?
-> 제작의 난이도와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해 웹 상에서 제작하기로 결정
2/ 시민의 참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기때문에 해당 프로젝트를 홍보할 방안도 함께 고려해야함
EX. 지하철이나 버스 옥외광고
3/ 초기 원활한 진행을 위해 지역 자원봉사 단체와의 협업도 필요할 것으로 보임
4/ 완성된 웹을 QR코드를 통해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면 접근성이 높아질 것이다
5/지도 상에서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면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아이디어 구현 절차 정리
1/유도블럭, 볼라드, 음향신호기의 위치 데이터에 관해 정보공개청구 하기
2/ 웹 상에서 지도 위에 유도블럭, 볼라드, 음향신호기를 매핑
3/ 웹 상에서 스티커를 붙일 수 있도록 구현
4/ 웹 주소를 담은 QR코드 생성
<7.1> 전문가 자문회의
기억에 남았던 활동
데이터활동 과정 속에 있었던 좋았던 점, 인상깊었던 일, 작업들를 적어주세요.
지난번에 구상했던 아이디어를 리마인드하고 조금 더 다듬을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개선해야할 점🔮
프로젝트에서 개선해야할 점이나 일감을 적어주세요.
유도블럭, 볼라드, 음향신호기의 위치 데이터에 관해 정보공개청구 하기
프로젝트 홍보 또는 활성화 방안에 대한 아이디어 공유
필요한 점
자문, 교육이 필요한 사항을 적어주세요.
프로젝트 로그
모임 일시 : 7월 1일
활동가 : 송하림, 신혜원, 윤귀영
현황 공유
방향 : 보도 블록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했는데, 이동권에 영향을 미치는 위치 정보가 바뀌기에 사람들에게 유도블록에 무언가 올리면 안되고 장애물이 위험하다는 점을 인식 개선 캠페인을 하는 방향으로 진행
웹 상에 점자블록과 볼라드, 음향신호기 맵핑하고, 장애물 스티커로 웹상에 보여주면 어떨지, 음향신호기에 고장때문에 어려움을 겪기도 해서 음향신호기 고장시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싶음
구현에 대한 조언을 받고 싶음.
정보공개청구로 유도블록, 볼라드, 음향 신호기 데이터 수집 예정
자문내용
점자블록, 볼라드, 음향신호기 데이터 수집이 시급함
정보공개청구를 그냥 하기 보다는 관련이 있을 법한 기관에 연락해보고 전화를 돌려보고, 범위를 어느 정도 좁히고 정보공개청구를 해보는 것 어떨까 제안
타 시도에서 이 데이터가 있는 경우가 있다면, 유사한 부서에서 담당하기에 연락해서 접근하는 것을 추천
횡단보도에 대한 지도 : 대구 횡단보도 데이터(GIS) 횡단보도 마다 고유의 번호가 붙어져 있음
유관 기관에 연락, 시각장애인 협회 연락 - 관련 부서에 연락하고 진행.
정보공개 청구 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기에 연락을 하는 것이 시간 단축 가능
전체 대구 횡단보도 중에서 점자블록 웹을 보여줄 수는 있는데, 전체 커버는 어렵기에 1-2개 지역을 선정해서 업데이트 주기와 관찰 주기를 정해서 이동권에 어느 정도 저해되는 지를 관찰하는 작업도 의미있는 프로젝트
시민들의 의식개선 캠페인이니, 요주의 구간이 어떻게 변화를 요구할지 같이 고민하는 방식이 필요.
시각장애인이 많이 거주하시는 구, 시각장애인들이 자주다니는 병원이나 단체의 이동 지역를 선택하고, 마커가 많이 붙여있는 곳은 시각장애인 단체나 협회에 전달하는 방식도 가능
서울의 경우, 경복궁 역에서 푸르메 센터에서 시각장애인 학교가 있어서 특히나 많이 오가는 지역, 관련 학교, 병원 등으로 역에서 이동하는 주요위치를 정해보면 어떨까 함.
정보공개청구 할때 필요한 서식을 데이터셋과 데이터파일 형태로 요청하기. 정 없다고 하면 필요한 것들을 쫙 나열해서 달라고 하기. 사례가 있을 경우 콕 집어서 청구
데이터 형식 : csv , excel 파일로 작업해야 함.
주소 정보, 위경도값이 있었으면 한다고 데이터 요청 강조.
한국 시각장애인 연합회 컨택 - 대구 데이터 요청 유무와 데이터 소유 관련부서, 단체도 문의 진행.
도시공원 표준데이터의 경우에서도 볼라드 유무도 있음. 데이터에 볼라드 유무와 장애인 시설에서 볼 수도 있음
<자문 내용 정리>
1/정보공개청구
-관련있는 부서에 전화로 해당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지 먼저 물어보기, 혹은 어떤 기관에서 그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지 물어볼 것 (다른 지역에 해당 데이터 있다면 유사기관에 문의해보기)
-정보공개 청구 시, 주소 및 위 경도 값 함께 요청하고, csv나 엑셀 파일의 형태로 받는 것이 좋다.
2/ 시각 장애인이 많이 다니는 구간으로 범위 좁히는 것 제안
->2018년 기준 시각자애인 비율이 가장 높은 달서구를 중심으로 할 예정( 달서구의 시각장애인 비율- 22.3%)
3/ 프로젝트 구현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 실제 장애물 스티커가 많이 부착되는 구간이 어딘지 직접 확인해보고 그 자료를 관련 단체에 제공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h2>시각장애인 보행지도 만들기</h2>
<h3>기억에 남았던 활동</h3>
<p><em>데이터활동 과정 속에 있었던 좋았던 점, 인상깊었던 일, 작업들를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
<p>시작할때 서로 웃으면서 인사를 나누어서 좋았고 또, 첫 모임 이후로 뵙게 되어 더욱 반가웠습니다!</p>
<p>논의 과정에서도 다들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시해주셔서 한결 수월했던 것 같습니다!_하림수민</p>
</blockquote>
<h3>개선해야할 점🔮</h3>
<p><em>프로젝트에서 개선해야할 점이나 일감을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p>개선해야 할 점은 딱히 없는 것 같습니다! 지금도 너무 좋습니다 ㅎㅎ_하림수민</p></blockquote>
<h3>필요한 점</h3>
<p><em>자문, 교육이 필요한 사항을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
<p><strong>데이터 전문가 자문</strong></p>
<ul><li>
<p>목요일 7시</p>
<p></p>
</li></ul>
<p><strong>필요한 지원 사항 (강의, 자문, 활동 지원 등)</strong></p>
<ul>
<li>
<p><strong>시각장애인 관련 전문가의 자문이 필요</strong></p>
<p></p>
<ul><li><p>대구광역시시각장애인연합회 (사단법인)</p></li></ul>
<ul><li>
<p>대구광역시 시각장애인 복지관</p>
<p>——————————————————————————-</p>
<p>저희가 따로 전화 인터뷰를 진행할 예정이긴 하나, 더욱 심층적인 정보 탐색을 위해 위 기관의 직원 혹은 전문가 분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p>
<p></p>
</li></ul>
</li>
<li>
<p><strong>시각화 관련 활동 지원 및 강의 필요할 것 같습니다</strong></p>
<p></p>
<p></p>
</li>
</ul>
</blockquote>
<h3>프로젝트 로그</h3>
<h2>프로젝트 첫 만남</h2>
<blockquote>
<p>6/19</p>
<p><strong>소모임 일정 및 온오프라인 여부</strong></p>
<ul><li><p>이번주 소모임 : 화요일 7시 / 온라인</p></li></ul>
<p></p>
<p><strong>이번주 체크리스트 & 일감 기여</strong></p>
<p>[인터뷰 팀]- 송하림, 남수민</p>
<ul>
<li><p><strong><인터뷰 질문></strong> 대구 시 내의 시각장애인 복지정책 현황/ 편의시설</p></li>
<li><p><strong><인터뷰 질문> </strong>시각장애인이 보행 상에 겪는 문제점 및 심각성, 주요 장애물</p></li>
</ul>
<ul><li><p><strong><인터뷰 질문></strong> 시각장애인 보행 장애물 데이터 셋을 만들었을 때 활용방향</p></li></ul>
<p></p>
<p>[데이터 조사 팀]-김희동, 신혜원, 윤귀영</p>
<ul>
<li><p><strong><자료 조사></strong> 시각장애인이 보행 상에 겪는 문제점 및 심각성</p></li>
<li>
<p><strong><자료,데이터 조사></strong></p>
<p>대구 시 내의 시각장애인 복지정책 현황/ 편의시설 (‘보행환경’을 중심으로)</p>
</li>
<li><p><strong><데이터 조사> </strong>대구시 시각장애인 인구 수 및 규모</p></li>
<li>
<p><strong><데이터 조사></strong></p>
<p>-대구 시 내의 차량진입제한시설(볼라드), 불법주차, 음향신호기, 점자블럭에 관한 공공 데이터 (위치정보, 파손 및 관리 여부가 담긴)</p>
<p>-그 밖의 시각장애인 보행환경에 대한 자료 조사</p>
<p></p>
<p>※ 데이터 셋 찾기가 어려울 경우 정보공개청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니, 청구 시 어떤 데이터가 필요할지 조사하면서 고민해보고, 공유해주세요!</p>
</li>
</ul>
</blockquote>
<p></p>
<h2><6.22> 4주차 소모임</h2>
<h3>기억에 남았던 활동</h3>
<p><em>데이터활동 과정 속에 있었던 좋았던 점, 인상깊었던 일, 작업들를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ul>
<li><p><strong>수민: </strong>아이디어에 대한 주요 쟁점들을 공유하고 중요한 요소들을 찾아내는 의미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다들 의견을 너무 잘 내주셔서 원활한 회의가 되었던 것 같아요:)</p></li>
<li><p><strong>하림: </strong>자료조사를 잘해주신 덕분에 문제 현황을 잘 파악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p></li>
<li><p><strong>혜원:</strong> 여러 생각이 섞여 복잡한 문제처럼 느껴졌던 것들이 함께 이야기해 보면서 명확해진 것 같아서 좋았습니다!</p></li>
</ul></blockquote>
<h3>개선해야할 점🔮</h3>
<p><em>프로젝트에서 개선해야할 점이나 일감을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p>어떤 형태의 최종 결과물을 낼 것인가 (어플, 웹 상 지도 등) 고민해보기</p></blockquote>
<h3>필요한 점</h3>
<p><em>자문, 교육이 필요한 사항을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ul><li><p>음성신호기, 볼라드 등에 대한 위치정보를 지도위에 구현하는 법에 대한 교육 지원 필요합니다!</p></li></ul></blockquote>
<h3>프로젝트 로그</h3>
<blockquote>
<p><strong>모임 일시 </strong>: 6월 22일 19시-20시30분<strong><br>활동가 : </strong>남수민, 송하림, 신혜원, 윤귀영</p>
<p><strong>회의내용</strong></p>
<ul><li>
<p><strong>전문가 자문 받을 내용</strong>:</p>
<p>1. 어떤 방법으로 시각화하는게 효과적일지</p>
<p>2. 위치데이터를 지도로 나타내기</p>
<p>3. 어플로 디벨롭할 수 있을지</p>
<p>4. 음성지원 서비스 가능한지</p>
</li></ul>
<p></p>
<ul><li><p><strong>문제점 및 포함할 데이터 정리</strong>:</p></li></ul>
<ol>
<li><p><strong>음향신호기 교란</strong>(음향신호기 위치 및 파손여부에 대한 데이터)</p></li>
<li><p><strong>볼라드</strong>(차량진입방지시설에 대한 위치정보)</p></li>
<li><p><strong>전동 킥보드</strong>(전동킥보드 위치정보)</p></li>
<li><p><strong>옐로우 카펫 </strong>(어린이보호구역의 옐로우 카펫이 점자블록과 혼동되는 점, 어린이보호구역 위치정보)</p></li>
</ol>
<p></p>
<p><strong>이번주 체크리스트 & 일감 기여</strong></p>
<ul>
<li><p>수성구 내 전동킥보드 사례 조사 @윤귀영님</p></li>
<li><p>옐로우 카펫에 대한 내용 찾아보기 @신혜원</p></li>
<li><p>대구시각장애인연합회, 대구시시각장애인 복지관, 대구장애인편의증진기술센터 인터뷰 및 자문 @남수민@송하림</p></li>
</ul>
<p></p>
<p><strong><img src="https://lh6.googleusercontent.com/9081LZ97T4EQfblZRN5nDQhV2_V17-3CBY3VorB7d2uGXc8Z36kizQYcPxbJDLWOSzVpk2QDagnEE9z_CqPG7e1y1r7x04kzLcBPsA5Qcrko5SNpPweIvDTzgSFdHBsnhuE8nnqQ" width="378" style="width: 378"></strong></p>
</blockquote>
<p></p>
<h2><6.24> 전문가 자문 회의</h2>
<h3>기억에 남았던 활동</h3>
<p><em>데이터활동 과정 속에 있었던 좋았던 점, 인상깊었던 일, 작업들를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p>프로젝트 방향에 대해 다시 고민해보고 많은 의견을 나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p></blockquote>
<h3>개선해야할 점🔮</h3>
<p><em>프로젝트에서 개선해야할 점이나 일감을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p></p></blockquote>
<h3>필요한 점</h3>
<p><em>자문, 교육이 필요한 사항을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p></p></blockquote>
<h3>프로젝트 로그</h3>
<blockquote>
<ul>
<li><p><strong>활동가</strong> : 송하림, 남수민 / 윤귀영, 신혜원</p></li>
<li>
<p>통행 배리어프리 장치의 훼손 여부와 기타 장애물에 대한 실시간 정보가 제공되는 보행지도를 만들어 시각장애인 이동권을 향상에 기여합니다.</p>
<p></p>
</li>
</ul>
<p><strong>질문내용</strong></p>
<ul><li>
<p>위치데이터를 어디까지 구현할 수 있을까하는 문제 : 앱, 음성지원 서비스로 지원할 수 있는가 문제</p>
<p></p>
</li></ul>
<p><strong>1. 어떤 방법으로 시각화하는게 효과적일지</strong></p>
<p><strong>2. 위치데이터를 지도로 나타내기</strong></p>
<p><strong>3. 어플로 디벨롭할 수 있을지</strong></p>
<p><strong>4. 음성지원 서비스 가능한지</strong></p>
<ul><li>
<p>변화가 잦은 보행도로 상황상 사후관리가 되지 않으면 더 위험할 수 있다는 의견</p>
<p><br></p>
</li></ul>
<p><strong>자문내용</strong></p>
<ul>
<li>
<p><strong>위치데이터의 구현 문제 : </strong>어플리케이션으로 디벨롭하는 것은 깃헙등을 사용하여 가능. 최대한 코딩을 줄이고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면 좋겠음. 음성지원은 텍스트를 읽어주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p>
<ul>
<li><p><strong>데이터가 나와봐야 데이터를 어느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을지 결정</strong>할 수 있음. 수집한 데이터가 위치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것이 중요함</p></li>
<li><p><strong>전동킥보드는 민간 데이터라 사용이 어려울 수 있음. 실시간 정보라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음</strong></p></li>
<li><p><strong>볼라드 데이터 : </strong>대구는 존재하지 않음, 경기도 존재</p></li>
<li><p><strong>음향신호기의 유무, 위치는 신호기관련, 횡단보도 관련데이터가 존재할 것이나 파손여부데이터는 지역을 좁혀서 직접확인할 필요 있음.</strong></p></li>
<li><p><strong>키워드 검색을 다르게 해볼 것을 추천</strong></p></li>
</ul>
</li>
<li>
<p>전수조사가 필요하면 <strong>지역을 좁히는 것</strong>이 효율적일 것임. 지역을 좁혀볼 생각은?</p>
<ul>
<li><p><strong>대상자 축소</strong>를 고려하고 있음 : 장애인 근로자</p></li>
<li><p>참고 : <a href="https://playforall.kr/d9ba9b65054743edbf6d553220a38641" target="_blank" class="auto_link"><u>그린북프로젝트</u></a></p></li>
<li><p>만드는 데이터가 대상이 분명할 필요가 있음</p></li>
</ul>
</li>
<li>
<p>점자블럭(유도블럭) 불법주차차량, 물건 적재로 인한 보행이 불편함을느끼고 있다고 들었음. 이것을 구현할 수 있는지?</p>
<ul>
<li><p>이미지를 표현하는 것은 가능, 이모티콘 표현 가능</p></li>
<li><p>점자블럭이 모든 도로에 있는 건지, 들쭉날쭉한 점자블럭을 표현할 수 있는지 검토 필요</p></li>
<li><p>공공데이터 포털 자료 : <a href="https://www.data.go.kr/data/15029067/fileData.do" target="_blank" class="auto_link"><u>대구 횡단보도 데이터(GIS)</u></a> 횡단보도에 각 id가 부여되어있음, 예를들어 음향신호기 파손여부등을 업데이트하면 상세한 지도를 만들 수도 있을 거임. 세밀한 형태의 지도도 구현이 가능할 것임 (QGIS 는 오픈소스) / 지역 고민 필요</p></li>
</ul>
</li>
</ul>
</blockquote>
<p></p>
<h2><6.24> 전문가 자문 후, 두 번째 소모임</h2>
<h3>기억에 남았던 활동</h3>
<p><em>데이터활동 과정 속에 있었던 좋았던 점, 인상깊었던 일, 작업들를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p>프로젝트 방향에 대해 다시 고민해보고 많은 의견을 나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p></blockquote>
<h3>개선해야할 점🔮</h3>
<p><em>프로젝트에서 개선해야할 점이나 일감을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ul><li><p>시각장애인이 많이 거주하는 구 조사하기</p></li></ul></blockquote>
<h3>필요한 점</h3>
<p><em>자문, 교육이 필요한 사항을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p></p></blockquote>
<h3>프로젝트 로그</h3>
<blockquote>
<p><strong>모임 일시 </strong>: 6월 24일<strong><br>활동가 : </strong>남수민, 송하림, 신혜원</p>
<p><strong>회의내용</strong></p>
<ul>
<li>
<p><strong>프로젝트 방향성 재설정</strong></p>
<p><strong><문제점 분석></strong></p>
<p>현직자 인터뷰를 통해 기존에 제기했던 문제점들 보다 유도블럭 위의 장애물이 시각장애인 보행에 있어 어려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게됨.</p>
<p>-> 따라서 <strong>유도블럭을 중점적</strong>으로 살펴보기로 결정함.</p>
<p></p>
<p><strong><방향성></strong></p>
<p>유도블럭위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도 길을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지도를 만드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나, 위치 정보가 정확하지않거나 유도블럭이 잘못 설치되어있는 경우 더 큰 위험을 일으킬 수 있음</p>
<p><strong>-></strong> <strong>유도블럭 위에 장애물을 두지 않도록 시민의 인식을 개선하는 방향</strong></p>
<p></p>
</li>
<li>
<p><strong>프로젝트 상세 내용</strong></p>
<p></p>
<p><strong><프로젝트 개요>:</strong> 점자블럭/음향신호기/볼라드의 위치를 매핑하고, 일반 시민들이 장애물이 있거나 기계 고장이 있는 부분에 지도 위에서 웹이나 앱 상에서의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p>
<p><strong><문제상황></strong></p>
<p>1/<strong>점자블럭</strong></p>
<p>인터뷰 결과, 점자블럭 위의 장애물이 시각장애인 보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일반 시민들이 유도블럭 위에 기타 장애물(물건, 차량)을 두면 안된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했기 때문이다.(여기에 대한 설문조사가 있으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p>
<p>-> 이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 개선이 필요함</p>
<p><strong>2/음향신호기</strong></p>
<p>음향신호기의 경우,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현직자 인터뷰)</p>
<p>-> 음향신호기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점검이 필요</p>
<p><strong>3/볼라드</strong></p>
<p>볼라드의 경우, 안전 상의 이유로 필요하긴 하지만 그 자체로 장애물이 되기도 한다.</p>
<p>-> 볼라드에 대한 위치 정보 파악해 시각장애인들이 부딪히지 않도록 해야함.</p>
<p></p>
<p><strong><프로젝트 상세설명>:</strong> 점자블럭/음향신호기/볼라드의 위치를 매핑하고, 웹이나 앱을 통해 일반 시민들이 <strong>점자블럭</strong> 위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해당 장소에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 <strong>볼라드</strong>의 경우, 존재 자체가 장애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지도 상에 그 위치를 표시한다. <strong>음향신호기</strong>의 경우, 고장 및 규격이 맞지 않은 경우가 있다면 고장 스티커 부착한다.</p>
<p></p>
<p><strong><기대효과>:</strong> 유도블럭 위 장애물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 수준을 높일 수 있고, 스티커가 많이 붙은 구간의 경우, 집중적인 관리가 가능해진다. 시민 참여를 통해 음향신호기와 같은 기계의 지속적인 점검과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p>
</li>
</ul>
</blockquote>
<p></p>
<h2><7.1> 7월 1주차 소모임</h2>
<h3>기억에 남았던 활동</h3>
<p><em>데이터활동 과정 속에 있었던 좋았던 점, 인상깊었던 일, 작업들를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p>지난번에 구상했던 아이디어를 리마인드하고 조금 더 다듬을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p></blockquote>
<h3>개선해야할 점🔮</h3>
<p><em>프로젝트에서 개선해야할 점이나 일감을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ul>
<li><p>유도블럭, 볼라드, 음향신호기의 위치 데이터에 관해 정보공개청구 하기</p></li>
<li><p>프로젝트 홍보 또는 활성화 방안에 대한 아이디어 공유</p></li>
</ul></blockquote>
<h3>필요한 점</h3>
<p><em>자문, 교육이 필요한 사항을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p></p></blockquote>
<h3>프로젝트 로그</h3>
<blockquote>
<p><strong>모임 일시 </strong>: 7월 1일<strong><br>활동가 : </strong>송하림, 신혜원, 윤귀영</p>
<p><strong>회의내용</strong></p>
<ul>
<li>
<p><strong>아이디어 구현을 위해 필요한 사항에 대해 논의</strong></p>
<p><strong>1/ 웹 상에서 구현? 앱을 통해 구현?</strong></p>
<p>-> 제작의 난이도와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해 웹 상에서 제작하기로 결정</p>
<p><strong>2/ </strong>시민의 참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기때문에 해당 프로젝트를 <strong>홍보할 방안</strong>도 함께 고려해야함</p>
<p>EX. 지하철이나 버스 옥외광고</p>
<p><strong>3/ </strong>초기 원활한 진행을 위해 <strong>지역 자원봉사 단체와의 협업</strong>도 필요할 것으로 보임</p>
<p><strong>4/ </strong>완성된 웹을<strong> QR코드</strong>를 통해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면 접근성이 높아질 것이다</p>
<p><strong>5/지도 상에서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strong>할 수 있도록 한다면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p>
<p></p>
</li>
<li>
<p><strong>아이디어 구현 절차 정리</strong></p>
<p><strong>1/</strong>유도블럭, 볼라드, 음향신호기의 위치 데이터에 관해 정보공개청구 하기</p>
<p><strong>2/ </strong>웹 상에서 지도 위에 유도블럭, 볼라드, 음향신호기를 매핑</p>
<p><strong>3/</strong> 웹 상에서 스티커를 붙일 수 있도록 구현</p>
<p><strong>4/ </strong>웹 주소를 담은 QR코드 생성</p>
</li>
</ul>
</blockquote>
<h2><7.1> 전문가 자문회의</h2>
<h3>기억에 남았던 활동</h3>
<p><em>데이터활동 과정 속에 있었던 좋았던 점, 인상깊었던 일, 작업들를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p>지난번에 구상했던 아이디어를 리마인드하고 조금 더 다듬을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p></blockquote>
<h3>개선해야할 점🔮</h3>
<p><em>프로젝트에서 개선해야할 점이나 일감을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ul>
<li><p>유도블럭, 볼라드, 음향신호기의 위치 데이터에 관해 정보공개청구 하기</p></li>
<li><p>프로젝트 홍보 또는 활성화 방안에 대한 아이디어 공유</p></li>
</ul></blockquote>
<h3>필요한 점</h3>
<p><em>자문, 교육이 필요한 사항을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p></p></blockquote>
<h3>프로젝트 로그</h3>
<blockquote>
<p><strong>모임 일시 </strong>: 7월 1일<strong><br>활동가 : </strong>송하림, 신혜원, 윤귀영</p>
<p></p>
<ul><li>
<p><strong>현황 공유</strong></p>
<ul>
<li><p><strong>방향 :</strong> 보도 블록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했는데, 이동권에 영향을 미치는 위치 정보가 바뀌기에 사람들에게 <strong>유도블록에 무언가 올리면 안되고 장애물이 위험하다는 점을 인식 개선 캠페인을 하는 방향</strong>으로 진행</p></li>
<li>
<p>웹 상에 점자블록과 볼라드, 음향신호기 맵핑하고, 장애물 스티커로 웹상에 보여주면 어떨지, 음향신호기에 고장때문에 어려움을 겪기도 해서 음향신호기 고장시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싶음</p>
<ul><li><p>지도 맵핑 - 표시</p></li></ul>
</li>
<li><p>구현에 대한 조언을 받고 싶음.</p></li>
<li><p>정보공개청구로 유도블록, 볼라드, 음향 신호기 데이터 수집 예정</p></li>
</ul>
</li></ul>
<ul>
<li><p>스티커 모양 : 지도 맵핑 마커 심는 형태로 제작</p></li>
<li>
<p>스티커를 통해 수집한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장애인들이 실제 쓰면 좋은데, 물건이나 장애물은 실시간 바뀌어서 어려움.</p>
<ul><li><p>시설의 현황 데이터를 분석해서 시민 인식 개선 하는 방식으로 진행<br></p></li></ul>
</li>
</ul>
<p><strong>자문내용</strong></p>
<ul>
<li>
<p><strong>점자블록, 볼라드, 음향신호기 데이터 수집이 시급함</strong></p>
<ul>
<li><p>정보공개청구를 그냥 하기 보다는 <strong>관련이 있을 법한 기관에 연락해보고 전화를 돌려보고, 범위를 어느 정도 좁히고 정보공개청구</strong>를 해보는 것 어떨까 제안</p></li>
<li><p>타 시도에서 이 데이터가 있는 경우가 있다면, 유사한 부서에서 담당하기에 연락해서 접근하는 것을 추천</p></li>
<li>
<p>횡단보도에 대한 지도 : <a href="https://www.data.go.kr/data/15029067/fileData.do" target="_blank" class="auto_link"><u>대구 횡단보도 데이터(GIS)</u></a> 횡단보도 마다 고유의 번호가 붙어져 있음</p>
<ul>
<li><p>데이터셋 예상 : 고유의 번호에 점자블록, 볼라드, 음향 신호기 유무 확인</p></li>
<li><p>토지 정보과 053-803-3672 연락</p></li>
</ul>
</li>
<li><p>유관 기관에 연락, 시각장애인 협회 연락 - 관련 부서에 연락하고 진행.</p></li>
</ul>
</li>
<li>
<p>정보공개 청구 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기에 연락을 하는 것이 시간 단축 가능</p>
<ul><li><p>청구와 문의를 동시 진행, 청구한 후에 다시 전화해서 문의하기</p></li></ul>
</li>
<li><p>전체 대구 횡단보도 중에서 점자블록 웹을 보여줄 수는 있는데, 전체 커버는 어렵기에 1-2개 지역을 선정해서 업데이트 주기와 관찰 주기를 정해서 이동권에 어느 정도 저해되는 지를 관찰하는 작업도 의미있는 프로젝트</p></li>
<li>
<p>시민들의 의식개선 캠페인이니, 요주의 구간이 어떻게 변화를 요구할지 같이 고민하는 방식이 필요.</p>
<ul>
<li><p>시각장애인이 많이 거주하시는 구, 시각장애인들이 자주다니는 병원이나 단체의 이동 지역를 선택하고, 마커가 많이 붙여있는 곳은 시각장애인 단체나 협회에 전달하는 방식도 가능</p></li>
<li><p>서울의 경우, 경복궁 역에서 푸르메 센터에서 시각장애인 학교가 있어서 특히나 많이 오가는 지역, 관련 학교, 병원 등으로 역에서 이동하는 주요위치를 정해보면 어떨까 함.</p></li>
</ul>
</li>
<li><p>정보공개청구 할때 필요한 서식을 데이터셋과 데이터파일 형태로 요청하기. 정 없다고 하면 필요한 것들을 쫙 나열해서 달라고 하기. 사례가 있을 경우 콕 집어서 청구</p></li>
<li><p>데이터 형식 : csv , excel 파일로 작업해야 함.</p></li>
<li><p><strong>주소 정보, 위경도값</strong>이 있었으면 한다고 데이터 요청 강조.</p></li>
<li>
<p>한국 시각장애인 연합회 컨택 - 대구 데이터 요청 유무와 데이터 소유 관련부서, 단체도 문의 진행.</p>
<ul>
<li><p><a href="http://www.kbufac.or.kr/Board/Report/Detail?ContentSeq=6&Page=1" target="_blank" class="auto_link"><u>http://www.kbufac.or.kr/Board/Report/Detail?ContentSeq=6&Page=1</u></a></p></li>
<li><p>사례로 참고 진행.</p></li>
</ul>
</li>
<li>
<p>도시공원 표준데이터의 경우에서도 볼라드 유무도 있음. 데이터에 볼라드 유무와 장애인 시설에서 볼 수도 있음</p>
<ul><li><p><a href="http://www.kbufac.or.kr/Board/Report/Detail?ContentSeq=6&Page=1%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E2%80%94" target="_blank" class="auto_link">http://www.kbufac.or.kr/Board/Report/Detail?ContentSeq=6&Page=1——————————————————————————————————</a></p></li></ul>
</li>
</ul>
<p><strong><자문 내용 정리></strong></p>
<p><strong>1/정보공개청구</strong></p>
<p>-관련있는 부서에 전화로 해당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지 먼저 물어보기, 혹은 어떤 기관에서 그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지 물어볼 것<strong> </strong>(다른 지역에 해당 데이터 있다면 유사기관에 문의해보기)</p>
<p>-정보공개 청구 시, 주소 및 위 경도 값 함께 요청하고, csv나 엑셀 파일의 형태로 받는 것이 좋다.</p>
<p><strong>2/ 시각 장애인이 많이 다니는 구간으로 범위 좁히는 것 제안</strong></p>
<p>->2018년 기준 시각자애인 비율이 가장 높은 달서구를 중심으로 할 예정( 달서구의 시각장애인 비율- 22.3%)</p>
<p><strong>3/ 프로젝트 구현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 실제 장애물 스티커가 많이 부착되는 구간이 어딘지 직접 확인해보고 그 자료를 관련 단체에 제공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strong></p>
</blockquote>
<h2>시각장애인 보행지도 만들기</h2>
<h3>기억에 남았던 활동</h3>
<p><em>데이터활동 과정 속에 있었던 좋았던 점, 인상깊었던 일, 작업들를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
<p>시작할때 서로 웃으면서 인사를 나누어서 좋았고 또, 첫 모임 이후로 뵙게 되어 더욱 반가웠습니다!</p>
<p>논의 과정에서도 다들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시해주셔서 한결 수월했던 것 같습니다!_하림수민</p>
</blockquote>
<h3>개선해야할 점🔮</h3>
<p><em>프로젝트에서 개선해야할 점이나 일감을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p>개선해야 할 점은 딱히 없는 것 같습니다! 지금도 너무 좋습니다 ㅎㅎ_하림수민</p></blockquote>
<h3>필요한 점</h3>
<p><em>자문, 교육이 필요한 사항을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
<p><strong>데이터 전문가 자문</strong></p>
<ul><li>
<p>목요일 7시</p>
<p></p>
</li></ul>
<p><strong>필요한 지원 사항 (강의, 자문, 활동 지원 등)</strong></p>
<ul>
<li>
<p><strong>시각장애인 관련 전문가의 자문이 필요</strong></p>
<p></p>
<ul><li><p>대구광역시시각장애인연합회 (사단법인)</p></li></ul>
<ul><li>
<p>대구광역시 시각장애인 복지관</p>
<p>——————————————————————————-</p>
<p>저희가 따로 전화 인터뷰를 진행할 예정이긴 하나, 더욱 심층적인 정보 탐색을 위해 위 기관의 직원 혹은 전문가 분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p>
<p></p>
</li></ul>
</li>
<li>
<p><strong>시각화 관련 활동 지원 및 강의 필요할 것 같습니다</strong></p>
<p></p>
<p></p>
</li>
</ul>
</blockquote>
<h3>프로젝트 로그</h3>
<h2>프로젝트 첫 만남</h2>
<blockquote>
<p>6/19</p>
<p><strong>소모임 일정 및 온오프라인 여부</strong></p>
<ul><li><p>이번주 소모임 : 화요일 7시 / 온라인</p></li></ul>
<p></p>
<p><strong>이번주 체크리스트 & 일감 기여</strong></p>
<p>[인터뷰 팀]- 송하림, 남수민</p>
<ul>
<li><p><strong><인터뷰 질문></strong> 대구 시 내의 시각장애인 복지정책 현황/ 편의시설</p></li>
<li><p><strong><인터뷰 질문> </strong>시각장애인이 보행 상에 겪는 문제점 및 심각성, 주요 장애물</p></li>
</ul>
<ul><li><p><strong><인터뷰 질문></strong> 시각장애인 보행 장애물 데이터 셋을 만들었을 때 활용방향</p></li></ul>
<p></p>
<p>[데이터 조사 팀]-김희동, 신혜원, 윤귀영</p>
<ul>
<li><p><strong><자료 조사></strong> 시각장애인이 보행 상에 겪는 문제점 및 심각성</p></li>
<li>
<p><strong><자료,데이터 조사></strong></p>
<p>대구 시 내의 시각장애인 복지정책 현황/ 편의시설 (‘보행환경’을 중심으로)</p>
</li>
<li><p><strong><데이터 조사> </strong>대구시 시각장애인 인구 수 및 규모</p></li>
<li>
<p><strong><데이터 조사></strong></p>
<p>-대구 시 내의 차량진입제한시설(볼라드), 불법주차, 음향신호기, 점자블럭에 관한 공공 데이터 (위치정보, 파손 및 관리 여부가 담긴)</p>
<p>-그 밖의 시각장애인 보행환경에 대한 자료 조사</p>
<p></p>
<p>※ 데이터 셋 찾기가 어려울 경우 정보공개청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니, 청구 시 어떤 데이터가 필요할지 조사하면서 고민해보고, 공유해주세요!</p>
</li>
</ul>
</blockquote>
<p></p>
<h2><6.22> 4주차 소모임</h2>
<h3>기억에 남았던 활동</h3>
<p><em>데이터활동 과정 속에 있었던 좋았던 점, 인상깊었던 일, 작업들를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ul>
<li><p><strong>수민: </strong>아이디어에 대한 주요 쟁점들을 공유하고 중요한 요소들을 찾아내는 의미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다들 의견을 너무 잘 내주셔서 원활한 회의가 되었던 것 같아요:)</p></li>
<li><p><strong>하림: </strong>자료조사를 잘해주신 덕분에 문제 현황을 잘 파악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p></li>
<li><p><strong>혜원:</strong> 여러 생각이 섞여 복잡한 문제처럼 느껴졌던 것들이 함께 이야기해 보면서 명확해진 것 같아서 좋았습니다!</p></li>
</ul></blockquote>
<h3>개선해야할 점🔮</h3>
<p><em>프로젝트에서 개선해야할 점이나 일감을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p>어떤 형태의 최종 결과물을 낼 것인가 (어플, 웹 상 지도 등) 고민해보기</p></blockquote>
<h3>필요한 점</h3>
<p><em>자문, 교육이 필요한 사항을 적어주세요.</em></p>
<blockquote><ul><li><p>음성신호기, 볼라드 등에 대한 위치정보를 지도위에 구현하는 법에 대한 교육 지원 필요합니다!</p></li></ul></blockquote>
<h3>프로젝트 로그</h3>
<blockquote>
<p><strong>모임 일시 </strong>: 6월 22일 19시-20시30분<strong><br>활동가 : </strong>남수민, 송하림, 신혜원, 윤귀영</p>
<p><strong>회의내용</strong></p>
<ul><li>
<p><strong>전문가 자문 받을 내용</strong>:</p>
<p>1. 어떤 방법으로 시각화하는게 효과적일지</p>
<p>2. 위치데이터를 지도로 나타내기</p>
<p>3. 어플로 디벨롭할 수 있을지</p>
<p>4. 음성지원 서비스 가능한지</p>
</li></ul>
<p></p>
<ul><li><p><strong>문제점 및 포함할 데이터 정리</strong>:</p></li></ul>
<ol>
<li><p><strong>음향신호기 교란</strong>(음향신호기 위치 및 파손여부에 대한 데이터)</p></li>
<li><p><strong>볼라드</strong>(차량진입방지시설에 대한 위치정보)</p></li>
<li><p><strong>전동 킥보드</strong>(전동킥보드 위치정보)</p></li>
<li><p><strong>옐로우 카펫 </strong>(어린이보호구역의 옐로우 카펫이 점자블록과 혼동되는 점, 어린이보호구역 위치정보)</p></li>
</ol>
<p></p>
<p><strong>이번주 체크리스트 & 일감 기여</strong></p>
<ul>
<li><p>수성구 내 전동킥보드 사례 조사 @윤귀영님</p></li>
<li><p>옐로우 카펫에 대한 내용 찾아보기 @신혜원</p></li>
<li><p>대구시각장애인연합회, 대구시시각장애인 복지관, 대구장애인편의증진기술센터 인터뷰 및 자문 @남수민@송하림</p></li>
</ul>
<p></p>
<p><strong><img src="https://lh6.googleusercontent.com/9081LZ97T4EQfblZRN5nDQhV2_V17-3CBY3VorB7d2uGXc8Z36kizQYcPxbJDLWOSzVpk2QDagnEE9z_CqPG7e1y1r7x04kzLcBPsA5Qcrko5SNpPweIvDTzgSFdHBsnhuE8nnqQ" width="378" style="width: 378"></strong></p>
</blockquote>
<p></p>
<h2>전문가 자문 회의</h2>
저희도 프로젝트 진행 중에 옐로카펫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데, 첨부해 주신 자료 저희도 참고해도 될까요?